비상계엄 여파로 '원화 실질가치' 급락…2년 3개월만 최대 하락폭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5-01-26 09:51:54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지난해 12월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원화의 실질 가치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가 전월 대비 급격히 떨어져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2023년 12월 말 기준 91.03으로, 전월 대비 1.99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20년을 100으로 설정한 기준점을 크게 밑도는 수치다.

실질실효환율은 한 국가의 화폐가 다른 국가들의 화폐와 비교해 실질적인 구매력을 어느 정도 보유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이 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기준 연도 대비 고평가된 것으로, 100 미만이면 저평가된 것으로 해석된다.

BIS 통계에 포함된 64개국 중 한국은 극심한 엔화 약세를 겪고 있는 일본(71.3)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절대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한 달간의 변동폭(-1.99포인트)은 브라질(-3.94포인트)과 오스트레일리아(-2.37포인트)에 이어 전체 64개국 중 세 번째로 큰 폭이었다.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 변동폭은 2022년 9월 레고랜드 사태로 원·달러 환율이 1,440원대까지 상승했을 때의 하락폭(-2.92포인트) 이후 가장 큰 수치를 기록했다.

역사적으로 한국의 실질실효환율 지수는 1997년 외환위기 당시 68.1,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78.7까지 하락한 바 있다.

지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7월까지는 100선을 상회하다가 이후 90 중반대를 유지해왔다.

최근 몇 년간 달러화의 강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일본 엔화와 중국 위안화의 동반 약세로 인해 원화 가치 하락세가 이어졌다.

지난해 하반기에 95선 아래로 내려온 지수는 10~11월 93을 웃돌다가 12월 계엄 사태를 계기로 90 초반대까지 급락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3일 계엄 당일 밤 원·달러 환율이 1,442.0원까지 급등한 뒤, 19일에는 1,450원을 넘어서고 27일에는 1,486.7원까지 치솟은 상황을 반영한 결과로 분석된다.

2023년 12월 한 달간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의 가치 절하율은 -5.3%로, 전쟁 중인 러시아의 루블화(-6.4%)에 이어 주요 30개국 통화 중 두 번째로 큰 폭의 가치 하락을 기록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사상 첫 3940선 돌파…'사천피' 눈앞2025.10.24
서울 전세 매물 잠김 현상..전세 월세화 가속화 되나2025.10.24
"10·15 부동산 대책 부정 평가가 긍정보다 많아"2025.10.24
농협은행 금융사고 절반은 '내부 소행'..."기강해이 심각"2025.10.24
NH농협은행,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 도입2025.10.2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