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0억원대 개발 사업 둘러싼 부정부패…무더기 구속
검찰, 롯데건설·효성중공업 ‘중복 입찰’ 혐의 포착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국내 최초, 최대 항만 재개발 사업으로 꼽힌 ‘부산항 북항재개발 사업’이 시행·시공사 선정부터 인허가 변경까지 모든 과정에서 비리로 얼룩진 민낯이 드러났다.
◇ 부산지방검찰청, 부산항만공사 전 임원 등 15명 무더기 기소
최근 부산지방검찰청은 부산항만공사(BPA) 전 간부 A씨와 롯데건설의 임원 B씨를 포함한 모두 15명을 업무방해 등 혐의로 무더기 기소했다고 밝혔다. 이 중 6명은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
검찰 조사 결과, 8000억원대 재개발 사업을 발주한 BPA 전 간부 A씨는 지난 2018년 브로커 청탁을 받고 공모지침서 초안과 평가 기준 등 입찰 관련 내부 정보를 유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행사 대표 C씨는 11억 원의 뇌물을 제공하고 내부 정보를 받아 '생활 숙박시설 건축 계획'을 숨긴 채 '특급호텔 사업 계획'을 준비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는 BPA가 호텔 제안 업체에 높은 점수를 주기로 한 점을 사전에 파악한 데 따른 것이다.
A씨는 사업 계획 평가 직전 평가위원 후보군을 유출하고, 시행사가 추천한 6명 중 5명을 실제 평가위원으로 선정되도록 했다.
이들은 해당 시행사 컨소시엄에 최고점을 부여, 'D-3 블록' 사업권을 낙찰받게 했다.
컨소시엄은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지난 2019년 특급호텔 사업 계획과는 다른 생활 숙박시설 건축 허가를 부산시에 신청했다.
부산시가 BPA에 의견을 묻자, A씨는 허위로 회신해 2020년 생활 숙박시설 건축 허가를 받도록 했다.
![]() |
(사진=연합뉴스) |
◇ 검찰, 롯데건설·효성중공업 ‘중복 입찰’ 혐의 포착
롯데건설과 효성중공업이 참여한 컨소시엄은 생활 숙박시설 분양으로 8235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BPA 전 간부 A씨는 용역 계약을 통해 11억 원을 받았고, 브로커는 150억 원을 챙겼다.
검찰은 롯데건설과 효성중공업 등 대형 건설사 두 곳이 '중복 입찰'을 한 혐의도 포착했다.
북항 재개발 사업은 오는 2030년까지 8조원을 투입, 관광·문화·해양산업을 조성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BPA는 공정성을 위해 건설사별 1개 구역 입찰 원칙을 적용했다. 하지만, 롯데건설과 효성중공업은 D-3 구역 입찰에서 효성이 낙찰되면 롯데건설이 공사를 맡는 방식으로 '짜고 치기'를 한 것으로 밝혀졌다.
![]() |
(사진=롯데캐슬 드메르) |
실제로 2023년초 공정거래위원회는 북항재개발 D-3 구역 담합 의혹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롯데건설과 효성중공업 담당자들의 “또 같이 가죠” 등 녹취파일을 입수했고, 사전에 미리 짠 정황을 파악한 바 있다.
롯데건설 임원 B씨는 업무방해 혐의로 구속 기소됐다. 현재 D-3 구역에는 ‘롯데캐슬 드메르’가 오는 9월 완공된다. 지상 59층, 1221실 규모로 오피스텔 전환이 추진 중이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