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철도 유휴부지 태양광 발전 확대...임대사업 논의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4 11:36:37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기차역과 승강장 지붕 등 활용 가능한 공간을 발굴해 자가발전과 임대사업에 나서며, 철도시설을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기지로 탈바꿈하겠다는 계획이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코레일은 올해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부지 26만㎡를 발굴했다.

 

이 중 13만㎡는 자가발전용으로, 나머지 13만㎡의 국유지는 태양광 에너지 임대사업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코레일 관계자는 "이달 중 '철도 유휴부지 태양광발전 사업자 공모'를 통해 사업자 선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은 코레일과 국가철도공단이 업무협약을 맺고 철도 부지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 임대수익을 균등 배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연간 임대수익은 약 5억원으로 추산된다.

 

코레일의 '태양광발전 중장기 계획'에 따르면, 올해 확보한 발전용량은 10㎿(메가와트)이며, 이번 공모를 통해 추가로 10㎿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회사는 2025년과 2026년 각각 12만㎡, 15만㎡의 부지를 추가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시작된 '솔라 레일로드'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 있다. 

 

당초 이 프로젝트는 국토교통부, 서울시, 코레일이 협력해 전국 13개 철도부지에 25㎿ 규모의 태양광 발전단지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였다.

 

그러나 법률적 문제로 인해 서울시와의 수의계약이 불가능해지면서, 코레일은 사업 방식을 민간 사업자 공모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법률자문 결과 수의계약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와 사업을 취소하고 민간 사업자 공모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코레일은 2021년 2월부터 별도의 태양광 발전 시범사업을 추진해왔다. 

 

당초 8개소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시설 보강과 안전 문제 등으로 3개소로 축소되어 지난 9월 부산정비단 2개소와 가야차량사업소 1개소가 준공된 바 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

주요기사

삼성SDI, 3분기 영업손실 5913억원…4개 분기 연속 적자2025.10.28
한미약품, 첫 국산 비만 치료제 출시 가능성2025.10.28
이재용 취임 3주년 날, 삼성전자 '10만전자' 달성2025.10.27
영풍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측 탈법 순환출자 형성이 사태의 핵심"2025.10.27
롯데바이오로직스, CPHI 참가…"글로벌 CDMO 시장 본격 공략"2025.10.27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