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 등 자금마련 '제노스코' 상장 추진 불가피
![]() |
(사진=오스코텍)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신약 개발 기업 오스코텍이 자회사 제노스코의 코스닥 상장을 둘러싸고 소액주주들과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소액주주연대는 법적 소송을 준비하는 한편, 양사 간 합병을 대안으로 제시하며 회사 측의 대응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소액주주연대, 오스코텍 상대로 법적 소송 준비 중
22일 업계에 따르면, 오스코텍 소액주주연대는 회사를 상대로 법적 소송을 준비 중이다.
주주행동 플랫폼 '액트'를 통해 14%의 지분을 확보한 소액주주들은 제노스코의 코스닥 상장 추진에 따른 주가하락 책임을 묻는 소송을 계획하고 있다.
이들은 이르면 이번 주 내로 회사 측에 내용증명을 발송하고 법원에 소장을 제출할 예정이다.
갈등의 시작은 지난해 10월 오스코텍이 한국거래소에 제노스코의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하면서부터다.
오스코텍은 2015년 유한양행에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를 이전하며 판매 로열티의 40%를 제노스코와 균등하게 나누기로 합의했다.
소액주주들은 제노스코가 상장될 경우, 오스코텍의 기업가치에 반영되던 렉라자 로열티 가치가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제노스코의 상장예심 청구서 제출 이후 오스코텍의 주가는 30.3% 하락했다. 증권사들도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며 오스코텍의 기업가치 재평가를 검토 중이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제노스코와 오스코텍은 렉라자 판매 수익을 동등하게 분배받고 있어 유사한 사업모델의 중복상장 논란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소액주주들의 반대 등으로 제노스코 상장 시기를 가늠하기 어려워 당사는 이를 오스코텍의 목표주가에 아직 반영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 신약개발 등 자금마련 '제노스코' 상장 추진 불가피
오스코텍은 신약개발 자금 마련을 위해 제노스코의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김정근 오스코텍 대표는 "최근 8년간 제노스코는 기관투자자들의 투자를 받아 성장한 회사"라며 "투자자에 대한 수익 보전이 필요하고 제노스코의 연구개발과 주요 인력을 지키기 위해 상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소액주주들은 양사 간 합병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합병을 통해 기관투자자나 임직원이 오스코텍 주식을 교부받을 수 있고, 합병법인을 통해 주식시장에서 필요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는 논리다.
오스코텍은 현재 합병안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지만, 공식적인 검토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회사 관계자는 "소액주주연대 측에서 공식적인 요청을 보내지 않았다"면서 "요청이 오면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합병이 성사되더라도 합병비율 산정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김 대표는 제노스코의 상장을 통한 기업가치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소액주주들은 상장 후 합병에 반대하고 있다.
소액주주연대의 최영갑 대표는 "오스코텍과 제노스코가 뭉치면 연구개발 부문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어 합병에 따른 실익이 클 것"이라며 "합병비율은 향후 양측이 협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