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한·미 통상 협상, ‘비상 체제’ 돌입...내주 '대미 투자계획' 전달 전망

김영택 기자 / 기사승인 : 2025-07-25 14:49:07
  • -
  • +
  • 인쇄
李 대통령, 재계 총수들 연쇄 회동…협상카드 논의 총력
정부, 이르면 내주 미국측에 ‘대미 투자계획’ 전달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한미 간 '2+2 외교·통상 고위급 협의'가 예고 없이 무산되면서 정부와 재계는 사실상 비상 대응 체제로 전환했다.


내주 최종 협상안을 미국 측에 전달하기 위해 최종 협상 카드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통령실은 주요 그룹 총수들과의 접촉을 급격히 늘리고 있다. 대기업들은 대외협력·대관 부서를 비롯해 미국 현지 인맥과 로비 채널까지 총동원하고 있다.

특히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김용범 정책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등이 참석하는 통상대책회의가 열렸다.  

 

(사진=연합뉴스)


◇ 李 대통령, 재계 총수들 연쇄 회동…협상카드 논의 총력

25일 재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주요 그룹 총수들과 연쇄 회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1일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22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만찬을 가진 데 이어, 24일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도 회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과도 만났다.

대통령실은 총수들과의 개별 만찬에서 별도 의제를 정하지 않고 자유롭게 폭넓은 의견을 교환했다고 설명했다.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최대 현안인 만큼, 초고율 관세에 대한 우려와 대미 투자 계획 등 협상 카드가 논의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통령실은 각 그룹 회장들로부터 대미 투자 구상과 글로벌 통상 전략, 지방 활성화 방안, 연구개발(R&D) 투자, 미래 사회 대응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날 이뤄진 이재용 회장과의 회동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업계에선 현지 투자 총액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방안은 물론, 러스트벨트 청년층을 겨냥한 사회공헌 프로그램 등 비금전 협력카드도 논의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협상 국면이 통제 불가능한 방향으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정부와 기업 모두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아직 고위급 협상 재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투자 규모와 방식, 상징성까지 포함한 민간 전략 자산이 어떤 조합으로 협상 테이블에 오를지가 관건이다.


(사진=연합뉴스)

◇ 정부, 이르면 내주 미국측에 ‘대미 투자계획’ 전달

정부는 이르면 다음 주 중 미국 정부에 국내 기업들의 대미 투자 계획을 공식 전달할 예정이다.

대통령실은 최근 삼성, SK, 현대차, LG 등 주요 그룹과 접촉해 가용한 현지 투자 규모를 확인했고, 현재까지 집계된 투자 총액은 1000억달러 안팎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안팎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 한국 등 우방국과의 협상은 조기에 매듭짓고, 이후 유럽연합(EU)과 중국에 대한 본격 압박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한국도 더는 관망할 수 없는 상황이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실제로 미국은 일본과의 협상에서 자동차에 대해 별도 쿼터 없이 관세 인하를 적용한 바 있으며, 일본은 총 5500억달러에 달하는 투자 계획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이재명 정부는 미해군 MRO 기지를 군산항에 건설하는 방안도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025년 7월 25일자 [단독] 한·미 관세 협상카드로 군산항 미해군 MRO 기지 만든다 참고기사>

우기훈 전 코트라 부사장 겸 뮤레파코리아 수석 파트너는 “앞서 일본이 15% 수준으로 관세를 인하했기 때문에 현실적 기준선이 마련된 셈”이라면서 “협상카드가 일본과 비교해 미치지 못할 경우 한미 관세협상 자체가 쉽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정부 조직 개편안,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MB 시즌2 우려2025.09.06
[현장] 영풍 “고려아연 경영진, SM 시세조종 사건 연루 의혹 증거 제시” 수사 촉구2025.09.06
[공시분석] 알테오젠 주가, 올해 55.83% 달성…”코스피 이전 주가 더 오른다”2025.09.05
[현장] SKT 해킹에 1347억 과징금 폭탄, KT·LGU+는 자진신고 거부하고 되레 공포 마케팅?2025.09.05
[현장] 포스코, HMM 인수 검토 착수…자문단 꾸려 사업성 분석2025.09.0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