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7일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했다.
환율 변동성 확대와 가계부채 증가 우려 속에서도 올해 경제성장률이 기존 전망치를 밑돌 것이라며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4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행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한·미 간 기준금리 차이는 1.75%포인트로 유지됐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문에서 "1분기 경기 부진 및 글로벌 통상여건 악화로 성장의 하방위험이 확대됐다"면서도 "미국 관세정책 변화, 정부 경기부양책 추진 등에 따른 전망경로의 불확실성이 크고, 환율의 높은 변동성과 가계대출 흐름을 살펴봐야 한다"고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한은은 2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린 바 있다. 이는 지난해 10월과 11월 연속 인하 이후 1월 동결을 거친 후 단행한 조치였다.
계엄·탄핵 정국 속 내수 위축으로 작년 4분기 성장률이 0.1%에 그친 데다, 미국 관세정책 리스크까지 겹쳐 경기 부양이 필요하다는 판단이었다.
금통위는 국내 경제상황에 대해 "정치 불확실성 지속, 통상여건 악화 등으로 내수와 수출이 모두 둔화되면서 성장세가 예상보다 약화됐다"고 진단했다.
특히 "금년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1.5%)를 하회할 것"이라며 경기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원/달러 환율은 미국 상호관세 발효 소식에 지난 9일 1484.1원까지 상승했다가 최근 1420원대로 떨어졌다.
금통위는 "미국 관세정책 및 중국의 대응, 증권투자자금 유출입 등에 영향받으며 단기간에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가 반락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 동향도 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금통위는 "주택시장에서는 서울 지역의 가격 오름세 및 거래량이 크게 확대되었다가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후 둔화됐다"고 언급했다.
5대 은행 가계대출은 2월 3조931억원, 3월 1조7992억원, 4월 10일까지 1조1218억원이 증가했다.
금통위는 "향후 통화정책은 성장의 하방리스크 완화를 위한 금리인하 기조를 이어나가되, 대내외 정책 여건의 변화와 이에 따른 물가, 가계부채 및 환율의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기준금리의 추가 인하 시기 및 속도 등을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전문가들은 다음 달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추가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