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업무협약식이 끝나고, 두산퓨얼셀 이승준 상무(왼쪽 넷째)가 참석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 두산퓨엘셀 제공) |
[알파경제=문선정 기자] 두산퓨얼셀이 AI와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과 손잡고 대체 전력공급 모델 구축에 나섰다.
두산퓨얼셀은 서울 동대문 두산타워에서 한국수소연료전지산업협회(KHFCIA),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KDCC), SK에코플랜트, 효성중공업 등과 ‘데이터센터 전력공급 솔루션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두산퓨얼셀과 SK에코플랜트는 수소연료전지 및 가스엔진 공급·운영과 함께,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데이터센터 냉방에 활용하는 설비 도입을 추진한다. 효성중공업은 가스엔진과 EPC(설계·조달·시공)를 맡고, KHFCIA와 KDCC는 각각 정책 지원과 전력공급 여건 개선을 담당한다.
두산퓨얼셀이 제시한 솔루션은 수소연료전지를 기저전원, 가스엔진을 부하추종전원으로 활용해 송배전망 확충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저탄소 방식으로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그리드포밍 인버터’를 적용해 별도의 전력망 없이도 주파수와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연료전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식 냉동기나 히트펌프에 연계해 데이터센터 냉각에 활용함으로써, 전력망 구축 비용과 기간을 줄이고 자립형 전원구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승준 두산퓨얼셀 상무는 “AI와 데이터센터 전력수요 급증으로 인한 공급 한계는 업계 전체의 과제”라며 “수소연료전지를 활용한 이 솔루션은 비용과 시간을 모두 절감하면서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문선정 기자(press@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