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의 한 대형병원 신생아실. (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지난해 출생아 수가 23만8300명으로 전년보다 8300명(3.6%) 증가했다.
2015년 이후 9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합계출산율도 0.75명으로 전년(0.72명)보다 0.03명 올라 같은 기간 처음으로 반등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4년 인구동향조사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2023년 0.72명에서 0.75명으로 상승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의미한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15년 1.24명을 기록한 이후 8년 연속 하락했으나 지난해 상승세로 돌아섰다.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도 4.7명으로 전년보다 0.2명 증가했다.
연간 출생아 수는 2015년 43만8420명에서 2016년 40만6243명으로 감소한 이후 8년 연속 급감해왔다. 2017년에는 35만7771명으로 30만 명대로 떨어졌고, 2020년부터는 20만 명대를 유지해왔다.
출산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주 출산층인 30대 초반 여성 인구 증가와 코로나19로 지연됐던 혼인 건수 증가, 결혼·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 등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지난해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 증가는 30대 초반 여성 인구가 늘어났고, 코로나19로 미뤄졌던 혼인이 연속해서 증가한 데 따른 결과"라며 "결혼과 자녀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첫째아 출생아 수는 14만6100명으로 전년보다 7700명(5.6%) 증가했다. 둘째아도 7만5900명으로 1500명(2.1%) 늘었다. 반면 셋째아 이상은 1만6300명으로 전년보다 1000명 감소했다.
첫째아 비중은 61.3%로 전년보다 1.1%포인트(p) 증가해 2년 연속 60%대를 유지했다. 둘째아 비중은 31.9%로 0.4%p 감소했고, 셋째아 이상 비중은 6.8%로 0.7%p 줄었다.
모(母)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30대 초반이 70.4명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30대 후반(46.0명), 20대 후반(20.7명), 40대 초반(7.7명), 20대 초반(3.8명) 순으로 나타났다. 30대 초반과 30대 후반에서는 출산율이 각각 3.7명, 3.0명 증가했다.
35세 이상 고령 산모 비중은 35.9%로 전년보다 0.4%p 감소해 1987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시도별 합계출산율은 세종과 전남이 1.03명으로 가장 높았고, 경북(0.90명), 강원(0.89명), 충북·충남(0.88명) 등이 뒤를 이었다.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7만1300명)였으며, 서울(4만1600명), 인천(1만5200명), 부산·경남(각 1만3100명) 등의 순이었다.
합계출산율이 반등에 성공했지만 국제적 기준에서는 여전히 턱없이 낮은 수준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합계출산율은 2022년 기준 1.51명으로, 우리나라의 갑절에 달한다. 출산율 1.0명을 밑도는 국가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심각한 저출산을 겪고 있는 일본의 합계출산율도 2022년 기준 1.26명이다.
출생아 반등에는 인구구조적 요인도 작용했다. 매년 70만 명대로 급증했던 1990년대 초반(1991~1995년) 출생아들, 이른바 '2차 에코붐 세대'가 결혼·출산기에 접어든 결과라는 분석이다.
다만, 출생아 수가 1996년을 기점으로 다시 60만 명대로 감소세를 보인 점을 고려하면, 이러한 인구구조 효과는 단기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전체 인구는 5년 연속 자연감소를 이어갔다. 지난해 사망자는 35만8400명으로, 출생아 수를 12만 명 웃돌았다. 인구는 2020년 첫 자연감소(3만2600명) 이후 2021년 5만7100명, 2022년 12만3800명, 2023년 12만2500명 등 마이너스를 지속하고 있다. 자연증가율(인구 1000명당 자연증가)은 지난해 -2.4명으로 전년과 같았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