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및 기술 혁신으로 내실 다질 것”
이번 협상 타결로 현대차그룹은 최대 판매 시장인 미국에서 관세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
지난 4월부터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수출 차량에 25%의 관세를 적용받아 왔으며, 이로 인해 올해 2분기에만 약 1조 6000억원의 비용을 부담해야 했습니다.
업계에서는 3분기 들어 이 관세 부담이 2조 원대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나이스신용평가의 분석에 따르면, 만약 25% 관세가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연간 관세 부담액은 8조 4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하지만 관세가 15%로 인하됨에 따라 연간 관세 부담액은 5조 3000억 원으로 줄어들어, 약 3조 1000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됩니다.
![]()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관세 협상이 타결되면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부과되던 25%의 관세가 15%로 인하됐습니다.
이에 따라 현대자동차그룹은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안도감을 표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29일 "어려운 협상 과정을 거쳐 타결에 이르기까지 헌신적으로 노력한 정부에 감사드린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현대차와 기아는 앞으로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추진하는 동시에,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 등을 통해 내실을 더욱 다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 |
| (사진=연합뉴스) |
이번 협상 타결로 현대차그룹은 최대 판매 시장인 미국에서 관세 부담을 덜게 됐습니다.
지난 4월부터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수출 차량에 25%의 관세를 적용받아 왔으며, 이로 인해 올해 2분기에만 약 1조 6000억원의 비용을 부담해야 했습니다.
업계에서는 3분기 들어 이 관세 부담이 2조 원대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나이스신용평가의 분석에 따르면, 만약 25% 관세가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연간 관세 부담액은 8조 4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하지만 관세가 15%로 인하됨에 따라 연간 관세 부담액은 5조 3000억 원으로 줄어들어, 약 3조 1000억 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편, 현대차와 기아 주가가 이날 늦은 오후 한미 관세 협상 타결 소식에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애프터마켓에서 급등했습니다.
이날 애프터마켓에서 현대차는 전날 한국거래소 종가 대비 13.97% 오른 28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