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민스(CMI.N), 2025년 실적 전망 철회...관세 불확실성 반영

폴 리 특파원 / 기사승인 : 2025-05-06 00:38:39
  • -
  • +
  • 인쇄
커민스 로고. (사진=커민스)

 

[알파경제=(시카고) 폴 리 특파원] 미국 트럭 엔진 제조업체 커민스가 2025년 연간 실적 전망을 전격 철회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방위적 수입 관세 정책이 야기한 산업 전반의 불확실성 증가에 따른 조치로, 앞서 연초 제시했던 매출 및 수익률 가이던스를 스스로 철회한 것이다.

 

커민스는 5일(현지시간) 공개한 실적 발표에서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2025년 남은 기간 동안의 매출이나 수익성에 대한 전망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제너럴 모터스(GM)가 이달 초 연간 가이던스를 철회한 데 이어, 미국 내 주요 제조사들이 잇따라 예측을 수정하고 나선 흐름을 함께한데 따른 것이다. 

 

커민스는 1분기 순이익이 8억 2400만 달러(주당 5.96달러)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커민스 주가 분석. (자료=초이스스탁)

 

이는 전년 동기 20억 달러(주당 14.03달러) 대비 크게 줄어든 수치다. 

 

1분기 매출은 LSEG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 81억 9천만 달러를 하회한 81억 7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커민스는 당초 올해 매출이 2~3% 증가 범위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했고, 핵심 영업 이익률은 매출 대비 16.2~17.2% 수준으로 전망한 바 있다.

 

북미 트럭 시장은 이미 장비 공급 과잉 상태에 놓여 있으며,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예측 불가능한 관세 정책이 추가적인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커민스 주가는 1.69% 상승 마감 후 프리마켓 거래에서 1.5% 하락했다.

 

알파경제 폴 리 특파원(press@alphabiz.co.kr)

주요기사

도요타(7203 JP), 자율주행 전기차 'e-Palette' 상용화 시작2025.09.16
닛케이 평균, 미국 하이테크 상승에 힘입어 4만5천엔 돌파 전망2025.09.16
캐논(7751 JP) vs. 니콘(7731 JP), 반도체 노광장치 시장에 새 바람2025.09.16
美트럼프, 일본산 車 관세 15% 인하…미·일 무역합의 후속 조치2025.09.16
알파벳(GOOGL.O), 시총 3조 달러 돌파…세계 네 번째 '3조 클럽' 합류2025.09.16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