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GOOGL.O), 인도서 탄소 배출권 구매…CDR 부문 진출 첫 사례

폴 리 특파원 / 기사승인 : 2025-01-17 06:49:09
  • -
  • +
  • 인쇄
구글 본사 로고.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시카고) 폴 리 특파원] 구글은 인도의 이산화탄소 제거(CDR) 부문에 진출한 첫 사례로 인도의 공급업체 바라하와 탄소 배출권 구매 계약을 체결한다. 

 

구글은 16일(현지시간) 많은 양의 농업 폐기물을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고 토양으로 돌려보내는 숯의 한 형태인 바이오차로 전환하는 인도의 이니셔티브에서 탄소 배출권을 구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구글은 CDR을 통해 배출량을 상쇄하고자 하는 여러 빅테크 기업 중 하나로, CDR은 이미 대기와 바다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 고안된 다양한 개입을 의미한다.

 

일부 개발자들은 공기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직접 추출하는 고가의 신기술을 검토하고 있지만, 바이오차와 같은 솔루션은 단기적으로 더 저렴한 옵션이 될 수 있다. 

 

구글의 탄소 제거 책임자 랜디 스폭는 "바이오차는 기존 기술을 사용해 전 세계적으로 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토양 건강에 긍정적인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탄소 제거에 대한 유망한 접근법"이라고 말했다. 

 

구글은 지금부터 2030년까지 10만 톤의 탄소 배출권을 구매할 예정이다. 

 

바이오차 기술. (사진=SNS)

 

바라하는 인도의 수백 개의 소규모 농장에서 폐기물을 구입해 수백 년 동안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바이오차로 전환하기 위한 원자로를 건설할 예정이다. 

 

이는 또한 비료의 대안으로 농부들에게도 공급될 예정이다.

 

바라하의 최고 경영자 마두르 자인은 "인도의 농장에서 나오는 폐기물이 매년 1억 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수 있는 충분한 바이오차를 생산할 수 있어 급성장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CDR은 전 세계 탄소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일부에 불과하지만, 국가와 기업이 배출을 상쇄할 새로운 방법을 모색함에 따라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비평가들은 CDR이 배출량 감축을 대체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바이오차와 같은 솔루션이 이산화탄소가 영구적으로 제거된다는 보장은 없다고 경고한다.

 

알파경제 폴 리 특파원(hoondork1977@alphabiz.co.kr)

주요기사

케어링(KER.PA), 대규모 해킹 피해 인정…구찌·발렌시아가 등 고객 정보 유출2025.09.16
인텔(INTC.O), 알테라 지분 매각…연간 비용 전망 하향 조정2025.09.16
코어위브(CRWV.O), 엔비디아(NVDA.O)와 64억 달러 규모 대형 계약…'미판매 용량 매입 조건부'2025.09.16
머스크, 10억 달러 테슬라(TSLA.O) 주식 매입…'보상 패키지 표결 앞두고 존재감 과시'2025.09.16
노바티스(NVS.N), 몬테 로사와 57억 달러 규모 라이선스 계약…면역 매개 질환 공략2025.09.16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