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 크래프톤, 인도 터지자 실적 대박..신작보다 배틀그라운드 새 지역 확장이 관건

박남숙 기자 / 기사승인 : 2023-11-09 07:52:59
  • -
  • +
  • 인쇄

배틀그라운드. (사진=크래프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크래프톤이 7일 3분기 잠정실적을 매출로 4503억원에, 영업 이익으로 1893억원으로 공시했다.


9일 인공지능 공시분석 프로그램 타키온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전년 동기 대비(YoY)로 매출 4%, 영업 이익은 31% 각각 성장했다.

크래프톤은 ROE가 32%에 해당하며, 이는 동종업계 최고 수준이라고 밝혔다.

영업 이익은 컨센서스 대비 30% 상회했다. 호실적은 인도 시장에서 나왔다. 오늘의 크래프톤을 만든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게임을 인도에서 출시했지만, 제대로 된 매출이 올 3분기에 터졌다.  

크래프톤 실적 (연결).


이는 크래프톤의 고민과 걱정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사안이다.

조호진 타키온월드 대표이사는 알파경제에 "크래프톤이 배틀그라운드 외 이렇다 할 히트 상품을 내 놓지 못했다"면서 "현재 크래프톤의 매출과 영업 이익을 높이는 방법은 신작이 아닌 새로운 장소에서 매출을 올리는 것 뿐"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이미 한국을 비롯해 미국·중국을 거쳐갔기에 새로운 매출처가 보이지 않는다.
 

크래프톤 '지스타 2023' 키 비주얼. (사진=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를 잇는 후속작이 없다는 점이 크래프톤의 최대 위기이다. 이는 주가로 반영된다.

크래프톤의 주가는 21년 11월 12일에 54만7000원이었다. 이후 주가는 내리막길을 거듭했다. 실적이 적용된 8일 주가는 10% 상승했지만, 최고점 대비 크래프톤 주가는 56.34% 하락했다.

크래프톤이 제작한 다크앤다커를 주목받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문제는 다커앤다커모바일이 소송에 휘말려 출시 날짜조차 잡지 못했다는 점이다.
 

크래프톤 5년 주가 차트. (사진=구글)


공매도 금지는 그나마 크래프톤에게 한줄기 빛과 같은 조치이다. 지난 3년간 크래프톤은 거래 중에서 공매도 비중이 10~13%를 차지했다.

신한증권은 "2분기의 배틀그라운드 IP 하향 안정화 우려를 3분기 실적으로 해소해 향후 실적추정치를 상향 조정했다"며 크래프톤의 목표 주가를 18만원에서 20만원으로 상향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이번주 초미의 관심사 FOMC, 인하 후 긴축 강도 축소 전망2025.09.16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2025.09.16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2025.09.15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2025.09.15
[심층] PG업계, 금감원 가이드라인에 반발..."본질 벗어난 규제"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