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주요 건설사 원가율 90% 넘어 수익성 '적신호'…건설시장 안정 대책 활로될까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9 08:17:57
  • -
  • +
  • 인쇄
현대건설 23년만에 적자 전환
공사비 증액 갈등 '곳곳에서 터진다'
업계, 건설시장 안정대책 '주목'
건설현장.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건설사들의 원가율이 90%를 넘어서며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현대건설과 금호건설은 원가율이 100%를 돌파하며 각각 1조2209억원, 181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19일 정부의 건설시장 안정대책 발표를 앞두고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 건설사 원가율 90% 넘어…현대건설 23년만에 적자 전환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대형 건설사들의 작년 매출 원가율이 평균 92.2%를 기록했다.

현대건설이 100.6%로 가장 높았고, GS건설(91.3%), 대우건설(91.2%), HDC현대산업개발(90.9%)도 90%를 웃돌았다. DL이앤씨(89.8%)와 삼성물산 건설 부문(89.4%)도 90%에 육박했다.

원가율이 치솟으면서 건설사들의 수익성도 급격히 악화됐다.

GS건설의 영업이익률은 2.2%에 불과했고, DL이앤씨와 대우건설은 3% 수준을 기록했다. 현대건설은 23년 만에 처음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업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영향으로 주요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고물가 기조 속 인건비 상승으로 현장 공사 비용이 급등한 것을 원가율 상승의 주원인으로 꼽고 있다.

실제로 건설기술연구원이 조사한 건설공사비 지수는 2020년 12월 이후 4년 동안 27.6% 상승했다.
 

서울 신반포4지구 재건축 아파트인 메이플자이 조감도. (사진=GS건설)


◇ 공사비 증액 갈등 '곳곳에서 터진다'

치솟는 공사비로 인해 건설사와 발주처 간 갈등도 심화되고 있다.

GS건설은 최근 서울 신반포4지구 재건축(메이플자이) 조합에 총 4859억원 규모의 추가 공사비를 요구하고, 이 중 2571억원에 대해서는 조합을 상대로 지급 소송을 제기했다.

두산건설과 코오롱글로벌은 2019년 공동 수주한 김해 더스카이시티 아파트 공사비를 845억원 증액했다.

조합 측과는 증액안에 합의했지만 일부 조합원들이 조합의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일부 현장에서는 원만한 합의가 이뤄지기도 했다.

현대건설은 2017년 3.3㎡당 548만원에 수주한 서울 서초구 반포주공1단지재건축 공사비를 지난해 9월 793만원으로 올렸다.

삼성물산과 HDC현대산업개발이 공동 시공한 잠실진주재건축은 당초 666만원이던 공사비를 847만원으로 인상했다.

다만, 공사비 인상이 원만히 이뤄졌더라도, 인상된 공사비는 분양가 상승과 전월세 인상 등으로 이어져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용산구


◇ 업계, 건설시장 안정대책 '주목'

건설업계의 시름이 깊어지는 가운데 이날 발표 예정인 정부의 건설시장 안정대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대책은 지방 미분양 해소가 주요 목적이다. 작년 말 미분양이 7만호, 준공 후 미분양은 10년 전고점을 넘은 2.1만호를 기록하면서 미분양에 따른 건설사 줄도산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예상되는 대책으로는 지방 미분양 주택 매입자에 대한 추가 세제혜택, CR리츠 활성화 방안, 책임준공 시공사 부담 완화정책, LH의 미분양 아파트 매입 대상을 수도권에서 지방까지 확대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7월 도입 예정인 스트레스 DSR 3단계 적용에 대해 지방 미분양 구입 시 한시적 제외 방안도 검토되고 있으나, 지방 미분양 가격이 3억원이 넘는 경우가 많아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는 이번 정부 대책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단기간 내 건설경기 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22~2023년에 시작된 공사들이 많이 줄었기 때문에 올해나 내년 상반기까지는 건설사 매출액이 최저치를 찍을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다만, 정부의 건설 경기 부양 의지는 긍정적 신호로 평가된다. 올해 우리나라 GDP 성장률은 1% 중반대로 전망된다. 특히 수출 전망이 불확실한 환경에서 GDP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수 회복, 특히 건설경기 회복이 필수적이라는 분석이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정책에 대한 실효성 등은 차치하더라도, 정부가 건설 경기 부양에 대한 의지가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며 "GDP 성장률 견인을 위한 건설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건설업계를 투자하기에 점점 좋은 환경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공시분석] 펨트론, SK하이닉스 반도체 검사장비 납품…’웨이퍼 와피지’ 계측2025.09.08
[현장] '증거인멸 의혹' KT, 해킹 통보 13일 후 서버 삭제...이번엔 서울·경기 소액결제 피해2025.09.08
[분석] 미리보는 FOMC, 고용·물가 해석 따른 등락 대비2025.09.08
[분석] 카카오페이, 2대주주 알리페이 지분 처분에 거버넌스 리스크까지2025.09.08
[현장] 엔씨소프트, ‘분 단위’로 PC 사용 근태 관리 논란…법적 문제 없나?2025.09.06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