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조직 개편…스테이블코인 등 신규 금융 규제 난항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8 09:28:21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금융당국 조직 개편안이 스테이블코인과 같은 신산업 규율 능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김상봉 한성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현행 개편안이 한국 경제 현실에 부합하지 않으며, 오히려 기획재정부의 권한을 강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정부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분리하고 금융위원회를 해체한 뒤 금융감독위원회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또한 금융감독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분리하여 금융소비자보호원을 신설하는 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이런 조직 개편 방향이 미국의 사례를 모방한 것이지만, 한국 경제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진단했습니다.

특히 기획재정부의 권한 분산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예산 조직 분리 후에도 금융 정책 조직을 이관받게 될 기획재정부의 강력한 권한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는 "현 정부 조직 개편안이 시행되면 최후의 승자는 기획재정부가 될 것"이라며, 이는 재정경제부의 고위직 자리가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꼬집었습니다.

금융 정책 및 감독 조직 개편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습니다. 금융 정책 조직이 재정경제부로 이관될 경우 정책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김 교수는 "금융위원회가 담당해 온 혁신 금융, 서민 금융, 주택 금융, 생산적 금융, 자본 시장, 관세 등 수많은 현안에 대한 대응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금융감독원에서 금융소비자보호처를 분리하여 금융소비자보호원을 신설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더욱 심각한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빅테크 기업의 금융 사업 진출이나 해외 스테이블코인 및 지급결제 업체들의 국내 진출과 같은 새로운 금융 환경에 대한 감독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김 교수는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금융감독원에서 분리하면 IT 기업의 금융 사업과 해외 스테이블코인 업체 등을 제대로 감독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소비자 보호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들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토스뱅크, 전월세대출 2주년...4만 가구 4.3조 공급2025.09.18
신한은행, 가상자산 전용 페이지 확대 오픈...코빗 연동 시세 확인2025.09.18
민생회복 소비쿠폰, 영세 중소가맹점 매출 증가 효과 뚜렷2025.09.18
한은 "美금리 인하로 통화정책 여력 확대…불확실성은 여전"2025.09.18
케이뱅크, AI 기반 혁신금융서비스 3건 지정..."디지털 금융 혁신"2025.09.18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