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다올투자증권 |
이번 전망은 미국의 기초체력 여건 개선과 물가의 2%대 진입 시기 지연 등을 반영한 것이다.
허 연구원은 "실업률 저점 기록에 의미가 있다기보다는 기업이 완전고용 도달까지 채용을 유지해온 기간에 방점을 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예상보다 오랜 기간 완전고용과 유사한 고용 여건이 지속될 가능성이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허 연구원은 최근 고용시장의 변화에 대해 "최근 고용시장에 이민자 진입이 증가했는데 이는 고용의 미스매치 해소와 인건비 감소, 기업의 비용지출 감소를 유발한다"며 "안정적인 고용 형태를 더 오래도록 지속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관측했다.
또한, 물가 동향에 대해 "서비스 품목의 하향 안정이 지연되고 있는데 일부 품목에서 이연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며 "고용을 바탕으로 서비스 물가 하향 안정 속도의 지연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