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대출금리 두고 예금금리만 낮춘다...'예대금리차 최대'

김혜실 기자 / 기사승인 : 2024-12-30 09:47:31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예대금리차가 거의 2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최근 기준금리 인하로 시장금리가 떨어졌지만, 은행권에선 대출금리는 그대로 둔 채 예금금리만 낮추며 이자장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에 공시된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11월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는 1.00∼1.27%p로 집계됐다. 

 

예대 금리차는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대출금리와 예금자에게 지급하는 금리 간 격차로, 예대금리차가 클수록 은행 이자 마진이 커지는 셈이다. 

 

금리 하락기에는 은행 예대금리차가 줄어드는 것이 보통이지만,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억제 압박에 시중은행들이 올해 하반기 가산금리를 덧붙여 대출금리를 올린 뒤 내리지 않은채 예금금리만 낮추면서 폭이 확대됐다.

 

5대 은행 중 KB국민은행과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각각 1.27%p로 가장 컸고, 하나(1.19%p)·우리(1.02%p)·신한(1.00%p) 순으로 집계됐다. 5대 은행 가계 예대금리차가 모두 1%p를 넘어선 것은 2023년 3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11월 예대금리차가 5.93%p로 가장 많았고, 토스뱅크(2.48%p), 한국씨티은행(2.41%p), 카카오뱅크(2.04%p)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우리은행, 안성연수원 조기 매각…보유자산 효율화 박차2025.11.04
DB손해보험, ‘안전운전 UBI 특별약관’ 배타적 사용권 획득2025.11.04
새마을금고, 녹취규정 문의 직원에 면직…중앙회 "절차 정당성 점검 중"2025.11.04
11월 분양 물량 수도권 3만 8천여 가구..올해 최대 규모2025.11.04
금투협, 제7대 회장 공모 돌입…19일까지 후보 접수2025.11.0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