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미성년 고액 계좌 늘어...100억 계좌도 존재

김혜실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4 10:12:04
  • -
  • +
  • 인쇄
서울 시내 설치된 ATM기기에서 시민들이 은행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주요 은행의 미성년자 예·적금 계좌 잔액이 4년 만에 20% 이상 증가했다. 특히 5억원 이상 고액 계좌가 늘었다. 


24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미성년자 예·적금 계좌(원화·외화 포함) 잔액은 7조8090억원으로 나타났다.

2023년 말(7조4661억원)보다 3429억원(4.6%) 늘어난 수치이며, 2020년 말(6조4977억원)과 비교하면 1조3114억원(20.2%) 증가했다.

지난해 말 예·적금 잔액 구간별로 살펴보면 △'1000만원 미만'이 467만9248만개(4조6592억원) △'1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 구간이 15만3348개(2조4896억원) △'5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 구간이 3525개(2202억원) △'1억원 이상 5억원 미만' 구간이 1727개(2899억원) △'5억원 이상'은 145개(1502억원) 등이었다.

미성년자의 예·적금 잔액은 증가했지만, 계좌 수는 감소했다. 지난 2020년 말 약 527만개였던 미성년자 예·적금 계좌 수는 2023년 말 498만개, 지난해 말 484만개로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말 계좌 당 잔액 평균은 약 161만원으로 집계됐다. 2023년 말(약 150만원)보다 7.6%, 2020년 말(약 123만원)보다는 30.9% 증가했다 

전체 미성년 예·적금 고액 계좌는 늘었다. 5억원 이상 고액의 예·적금 계좌 수는 작년 말 145개로 집계됐다. 136개였던 전년 말보다 증가했고, 잔액도 1348억원에서 1502억원으로 154억원(11.4%) 늘어났다. 고액 계좌당 평균 잔액은 10억원을 넘어섰고, 지난해 8월 기준 100억원 이상의 계좌도 있었다.

진 의원은 "미성년자 계좌를 이용한 편법 증여 가능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일정 금액 이상의 예·적금에는 증여세 신고 기준 강화를 검토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연일 사상 최고치 경신…3340선 상승 마감2025.09.11
국평 84㎡에서 59㎡로 변화..수도권 청약경쟁률 6배 높아2025.09.11
결혼 앞둔 예비 부부, 결혼식 한달 전 평균 카드값 227만원2025.09.11
KB자산운용, 해외 공모펀드 환매주기 최대 4일 단축2025.09.11
베트남 최고인민검찰원, 토스뱅크 방문해 디지털전환 논의2025.09.11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