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중견기업연합회. (사진=한국중견기업연합회) |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중견기업 10곳 중 6곳은 전년 대비 투자 규모를 확대하거나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공개한 '2023년 중견기업 투자 실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중견기업의 62.5%가 전년 대비 투자 규모를 유지하거나 확대했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고물가·고금리·고환율, 공급망 불안정 등 급격한 대외 환경 변화에도 절반에 가까운 48.0%의 중견기업이 투자 규모를 전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중견기업의 14.5%는 투자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투자 확대를 견인한 요인으로는 △기존 사업 확장(47.7%) △노후 설비 개선·교체(36.4%) △신사업 진출(6.8%) △해외 진출(6.8%) 등이 꼽혔다.
투자 유지 또는 축소 원인은 △불확실한 대내외 경제 상황(40.6%) △내수 경기 부진(31.4%) △글로벌 경기 침체(12.1%) △자금 조달 애로(8.7%) 등 순으로 나타났다.
중견기업인들은 △법인세 인하(58.6%)가 투자 확대에 가장 도움이 된 정책이었다고 밝혔다. △투자세액공제율 확대(13.8%) △민간투자 저해 규제 혁파(13.2%) △지방투자 활성화 지원(4.9%) 등이 뒤를 이었다.
중견기업의 44.4%는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최우선 정책 과제로도 추가적인 '법인세 인하'를 꼽았다.
제조 중견기업(24.4%)의 투자 확대 비중은 비제조 중견기업(6.9%)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업종별로는 1차금속·금속가공(33.3%), 화학물질제품·섬유(31.6%), 전자부품·통신장비(26.7%), 식·음료품(23.1%), 부동산·임대업(13.6%), 출판·통신·정보서비스업(13.3%) 등 순으로 투자 규모를 확대한 중견기업 비중이 높았다.
중견기업인들은 △자금 조달의 어려움(35.9%)을 가장 큰 투자 저해 요인으로 꼽았다. △인력 부족(24.0%) 세제 등 지원 혜택 부족(14.5%) △법·제도 등 각종 규제(13.8%) 등도 주된 투자 애로로 확인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2024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제시된 52조 원의 시설투자 자금 설치, 시설투자 임시투자세액공제 1년 연장, R&D 투자 세액공제율 상향 등 구체적인 투자 지원 정책에 더해, 법인세 인하를 비롯해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원 방안이 추진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