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계부채 42조 증가...규제로 증가세 둔화

류정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2-19 10:39:18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지난해 한국의 가계부채가 42조원 가까이 증가했으나,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으로 인해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분기 가계신용'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7조 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말 대비 41조 8000억원 증가한 수치로, 2021년 이후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가계신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가계대출 잔액은 1807조원으로, 전 분기 대비 10조 6000억원 증가했다. 

 

그러나 4분기 들어 증가세가 둔화되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액은 3분기 19조 4000억원에서 4분기 11조 7000억원으로 감소했다.

 

김민수 한국은행 금융통계팀장은 "주택 거래가 지난해 7월을 정점으로 감소하면서 주담대도 감소 추세에 있다"며 "정부와 한국은행의 거시건전성 정책이 가계부채 안정화를 유도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금융기관별로는 4분기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증가폭이 전 분기 22조 7000억원에서 6조 9000억원으로 크게 축소됐다. 

 

반면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대출은 4분기에 6조원 늘어나며 10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신용카드 결제 등 판매신용 잔액은 12월 말 기준 120조 3000억원으로, 3개월 전보다 2조 4000억원 증가했다. 이는 연말 신용카드 이용 증가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 팀장은 "올해에도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등 금융 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정책이 계속될 예정"이라며 "당분간 가계부채의 안정화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

주요기사

상반기 車보험 이익 90% 급감…손해율 악화 직격탄2025.09.07
금융위, 17년 만에 해체…금감원·금소원 공공기관 추진2025.09.07
월급 300만원으로 2년만에 1억 만들기. 어떻게 하면 될까? [알쓸차근: 월급탈출 인생수정]2025.09.05
네이버·토스·카카오에서 실손 보험보험 청구 한번에 가능해진다2025.09.05
[마감] 코스피, 美고용지표 경계감 속 3200대 제자리걸음2025.09.0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