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모두발언중인 추경호 부총리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시카고) 김지선 특파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한국이 중국과의 교역에서 많은 흑자를 보는 시대는 끝났다고 평가했다.
10일(현지시각)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한 추 부총리는 이날 뉴욕 맨해튼에서 한국 특파원들을 만나 한국과 중국의 경제 교역과 관련해 이같이 언급했다.
추 부총리는 "과거처럼 중국이 우리 경제에 빠르게 반등의 기회를 주지 않을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중국은 과거 우리나라의 최대 무역 흑자 상대국이었으나 올해 최대 무역 적자국으로 돌아섰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 2월 대(對)중국 무역적자 누적액은 50억7310만 달러(약 6조5950억 원)로 집계돼 호주와 사우디아라비아를 제치고 최대 적자 상대국이 됐다.
추 부총리는 중국의 리오프닝(경제 재개) 효과와 관련해 "중국의 제조업이 살아나기 시작하면 우리 기업의 수출로도 결국은 시간을 두고 나타날 것"이라면서도 "(이같은 상승의) 타이밍이 빨리 오느냐, 시간을 두고 오느냐는 문제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에 대한 수출 부진 현상이 고착될 가능성에 대해선 "(적자로 굳어질) 추세라고 보진 않는다"면서도 "과거처럼 흑자가 굉장히 많이 나던 시대는 지난 것 같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정부가 올해 경제 성장률을 1.6%로 전망한 데 대해선 "상반기는 좋지 않고, 하반기는 좀 나아질 것으로 보지만 미국과 유럽의 경제 상황 등 아직도 변수가 많다"고 설명했다.
환율 상황에 대해선 "세계 경제가 좋지 않고, 미·중 간의 갈등 등 복합적인 요인이 상존하지만, 한국의 신인도가 거의 변동이 없다"며 특별한 위기 상황은 아니라고 언급했다.
가계부채에 대해선 "최근 들어 오히려 증가세가 마이너스로 돌아섰는데 워낙 (절대적인) 수준이 높기 때문에 여전히 경계를 해야 하는 수준"이라며 "부동산도 본질과는 관계없이 엉뚱한 곳에 징벌적 과세를 하는 그런 일탈적인 운영을 바로 잡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추 부총리는 내년 총선 출마를 앞두고 교체 가능성이 거론되는 데 대해선 "정국 운영과 관련돼 대통령이 판단할 부분이기 때문에 알 수 없다"면서도 "내년 4월 총선 일정을 역산하면 늦어도 올해 12월에는 출마자들이 정리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추 부총리는 윤석열 정부의 초대 경제수장으로 지내면서 전 정부의 경제 정책의 한계점을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전 정부의) 경제정책이나 경제 운영이 많이 방만했다"라며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은 정상화 과정을 밟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 해에도 몇 차례 추경을 하면서 18~19% 재정 지출이 증가해도 경계감 없이 '왜 돈은 더 쓰면 안되냐'는 식의 표현을 스스럼없이 했다"고 지적했다.
또한 "집값이 폭등해서 가계부채가 너무 많이 늘어났다"며 "부동산 대책도 본질과 관련 없는 징벌적 과세를 지나치게 도입했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 정상화'를 위해 문제의식을 갖고 일관되게 추진할 것이나 "시간이 좀 걸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김지선 특파원(stockmk2020@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