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국민연금이 사상 처음으로 전체 자산의 절반 이상을 주식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금 고갈 우려 속에 안정적 채권 중심 운용에서 벗어나 수익률을 높이려는 전략 전환이 본격화된 모습이다.
3일 국민연금공단의 올해 6월 말 기준 기금운용 현황에 따르면, 총 적립금 1269조1355억 원 가운데 주식(국내·해외) 투자액은 635조5734억 원으로 전체의 50.1%를 차지했다.
국민연금이 주식 비중 50%를 넘긴 것은 기금 운용 이래 처음이다.
2015년 말만 해도 국민연금의 자산 구성은 채권 56.6%, 주식 32.2%였다. 하지만 10년이 지난 올해 채권 비중은 33.0%로 낮아졌고, 그 자리를 주식이 채웠다.
국민연금이 ‘안정적 예·적금(채권)’보다 ‘수익형 자산(주식)’ 중심으로 체질을 바꾼 셈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운용 수익률이 1%포인트 높아질 경우 국민연금의 기금 고갈 시점을 수년가량 늦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민연금은 변동성을 감수하더라도 수익률을 높이겠다는 방향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해외 주식 비중이 국내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전체 주식 자산(50.1%) 가운데 국내 주식은 14.9%(189조 원), 해외 주식 35.2%(446조 원)에 달했다.
이는 한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분산투자를 통해 위험을 분산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자산운용업계 한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국내외 투자자와 기관 모두 코스피 추가 상승 여력을 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민연금도 이런 시장 분위기에 발맞춰 주식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