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스페이스X) |
[알파경제=(시카고) 폴리 특파원] 스페이스X가 미국 이동통신사 T-모바일과 손잡고 휴대전화와 위성 인터넷을 연결하는 서비스 실험 계획을 밝혔다.
스페이스X는 우주에 발사한 로켓을 회수, 재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민간 기업으로 테슬라 창업주 일론 머스크(CEO)가 이끌고 있다.
13일(현지시각) 해외 언론보도 등에 따르면 조너선 호펠러 스페이스X 부사장은 워싱턴DC에서 열린 '위성 2023 콘퍼런스'에서 이같은 서비스 실험 계획을 발표했다.
호펠러 부사장은 "우리는 꼭 과도하게 분석하기보다는 실제로 해보면서 많이 배울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해 8월 마이크 시버트 T-모바일 최고경영자(CEO)와 함께 이런 사업 계획을 처음 발표했다. T-모바일 휴대전화로 스페이스X의 저궤도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에 직접 연결해 기지국이 없는 곳에서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당시 일론머스크는 트위터에서 "2023년 출시 예정인 스타링크 2세대 위성 '스타링크V2'는 스마트폰에 통신 서비스를 직접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스타링크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안테나와 단말기 등 기기가 필요한데, 보다 간편하게 휴대전화로 직접 위성에 연결해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스타링크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안테나와 단말기 등 기기가 필요한데, 보다 간편하게 휴대전화로 직접 위성에 연결해 이용할 수 있게 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양사는 "모바일 사각지대(dead zone)를 없애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스페이스X는 현재까지 스타링크 위성 4천 개를 발사했으며, 최근에는 통신 용량이 전보다 4배 더 큰 위성 'V2 미니'를 쏘아 올리기 시작했다.
호펠러 부사장은 스페이스X가 시애틀 인근 생산시설에서 매일 위성 6개를 제작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스타링크 이용자 수가 지난해 12월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 자랑했다.
스페이스X는 현재까지 스타링크 위성 4천 개를 발사했으며, 최근에는 통신 용량이 전보다 4배 더 큰 위성 'V2 미니'를 쏘아 올리기 시작했다.
호펠러 부사장은 스페이스X가 시애틀 인근 생산시설에서 매일 위성 6개를 제작하고 있으며 전 세계의 스타링크 이용자 수가 지난해 12월 100만 명을 넘어섰다고 자랑했다.
알파경제 폴리 특파원(hoondork197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