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국토교통부 |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지난해 토지 거래가 얼어붙고 지가 상승폭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부동산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들면서다.
실제로 작년 토지 거래량은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감소했고, 땅값 상승 폭도 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26일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전국 지가가 2.73% 상승했다고 밝혔다. 땅값 상승률은 전년(4.17%) 대비 1.44%포인트 하락했다.
수도권은 4.78%에서 3.03%로, 지방은 3.17%에서 2.24%로 상승폭이 줄었다.
시·도별로는 세종(3.25%), 경기(3.11%), 서울(3.06%), 부산(2.75%) 등 4곳이 전국 평균보다 땅값이 높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국 땅값은 용도지역별로 상업(3.20%), 공업(2.93%), 녹지(2.87%), 계획관리(2.77%), 주거(2.62%) 등 순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용 상황별로는 상업용(3.25%), 전(3.14%), 공장(3.07%), 답(2.74%), 주거용(2.12%), 기타(2.08%), 임야(2.02%) 순이었다.
![]() |
국토교통부. 사진= 연합뉴스 |
전국 땅값은 지난해 11월 0.01% 떨어져 지난 2010년 10월 이후 12년 1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지난해 12월에는 -0.03%로 낙폭이 커졌다.
지난해 10월 전국 250개 시·군·구 중 21곳이 하락 전환했고, 12월에는 하락한 곳이 109곳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토지(건축물 부속토지 포함) 거래량도 급감했다.
작년 거래량은 220만9000필지(1795.4㎢)로, 2021년 대비 33.0%(108만7000필지) 줄어들었다.
이는 연간 기준으로 2012년(204만5000필지) 이후 10년 만에 기록한 최저치다.
지역별로는 대구의 전체토지 거래량이 전년 대비 54.6% 줄어들어 가장 많이 줄었고, 서울(-43.5%), 세종(-42.5%) 등 17개 시·도 모두 감소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도 지난해 97만4천필지(1675.6㎢)로, 전년 대비 22.0%(27만4000필지) 줄어든 2013년(90만2천필지) 이후 최소치였다.
알파경제 임유진 (lyjin0305@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