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알파경제와 인공지능 공시분석 프로그램 개발사 타키온월드가 공동 제작한 콘텐츠다. 기업 공시에 숨겨진 의미를 정확히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정보 제공과 투자 유도를 위해 준비했다.
![]() |
(사진=서진시스템 홈페이지)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페이팔 창업자인 피터 틸(Tiel·57)이 출자했던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크레센도(Cresendo)가 서진시스템의 전환사채권을 주식 형태로 최초 보유하게 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크레센도가 투자한 회사로는 ▲HPSP ▲한미반도체 ▲동아지질 ▲메디포스트 등이 있다.
2일 인공지능공시분석 프로그램 타키온월드에 따르면 크레센도와 전동규(54) 서진시스템 대표가 보유하고 있던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각각 전환 청구했다고 최근 공시했다.
이번 인수에 크레센도가 투자한 금액은 약 2400억원으로 크레센도는 서진시스템의 보유 지분율을 19.58%까지 올렸다.
크레센도가 인수한 전환사채는 주당 3만2000원의 풋옵션(매수청구권) 계약이 체결됐다.
조호진 타키온월드 대표는 알파경제에 “매수 청구는 2025년 6월 26일 이후 가능하다”면서 “풋옵션이 행사되려면 서진시스템의 주가가 3만2000원 이상이 돼야 손실 없이 거래가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 |
서진시스템 실적추이 (사진=타키온월드) |
서진시스템은 최근 ESS 관련 주목받는 기업이다. 챗GPT로 빅테크 등이 곳곳에 AI 서버를 짓고 있다.
서버에 필요한 엔비디아의 H100도 필수이지만, 전력 공급이 없으면 무용지물이다.
이를 위해 ESS(Energy Storage System)이 활용된다. 서진시스템이 ESS를 생산하면서 인기가 급상승했다. 작년 4분기 실적도 급등했다.
![]() |
서진시스템, SK하이닉스 주가추이 (사진=구글) |
올해 수익률은 3일 종가 기준으로 서진시스템이 47.19%, SK하이닉스가 21.63%를 각각 기록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