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리 결정 기자간담회 발언 중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아직 금리인하 가능성을 언급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의 자리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물가(상승률)가 (한은) 중장기목표로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는 금리 인하 논의를 안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상반기 물가 경로는 확신이 있는데 하반기 불확실성이 많아서 확인하기 전까지 금리 인하 언급은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들의 견해를 말씀드리면 금리 인하를 아직 고려할 단계가 아니며, 물가 불안 요인이나 이런 불확실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금통위원 중 상당수가 '시장의 기대'가 과한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통위에서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했지만, 금통위원 중 대부분이 3.75%로 추가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뒀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이번 금리인상기 최종금리 수준에 대해 "금통위원 다섯 분은 당분간 3.75%로 가져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고, 한 분은 3.5%로 동결하는 게 적절하다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 및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이 변동함에 따라 상황을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
최근 환율상승 등 외환시장 불안에 대해서는 "금리를 통해 반응하거나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단 변동성이 클 경우에는 금리뿐 아니라 여러 다른 정책을 통해 반응하는 게 당연하다"고 밝혔다.
무역수지에 대해서는 " "무역수지도 환율 결정의 중요요인이지만 주요국 통화정책이 어떻게 변화할지, SVB 사태 이후 긴축이 지속될지 아닐지도 환율에 크게 미치는 영향이 있어 한 방향을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국내 경기 흐름에 대해서는 "글로벌 경기 둔화, 그간의 금리 인상 영향 등으로 성장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소비 부진이 다소 완화됐지만 수출이 큰 폭 감소세를 지속하면서 1분기 중 성장률은 소폭의 플러스로 전환하는 데 그칠 것"이라고 기대했다.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는 "작년 급격히 하락한 부동산 경기의 하락속도가 둔화되고 있다"면서 "시장이 연착륙할 가능성이 작년보다 커졌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