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지난 28일 차기 정부 출범 전 미국과의 통상 협상 합의 가능성에 대해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방미 관련 백브리핑에서 박 차관은 이같이 밝히며 "차기 정부가 들어선다 해도 단기간 내에 광범위한 이슈를 다루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박 차관은 "미국의 관심 사항을 명확히 하고, 이견 없이 속도를 낼 수 있는 부분은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부과 시점은 7월 8일로, 남은 기간 동안 최대한 협상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박 차관은 과거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는 달리 이번 협상이 비정형화되어 있어 합의 도출에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미국과의 협상에 과속할 이유도, 머뭇거릴 시간도 없다"며, "다음 정부가 이어달리기를 할 때 부담을 주지 않도록 대선 전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측은 한국의 특수한 정치 상황을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7월 패키지에 담아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박 차관은 전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고위급 통상 협의에서 관세·비관세, 경제 안보, 투자 협력, 통화정책 등 4개 분야로 의제를 좁혔습니다.
특히 미국은 조선업 분야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양측은 우리 기업들의 대미 파트너십 동향과 기술·인력·신조 협력 등을 논의했습니다.
박 차관은 "미국은 군사 부문은 물론 상선 분야에서도 취약해 우리와의 동맹 없이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며, "미국 조선소의 낙후된 생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과의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비관세 장벽 해소와 관련 "우리나라가 글로벌 스탠다드를 따라가지 못해 규제처럼 느껴지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면서도, "미국이 현재까지 구체적인 비관세 장벽 해소 요구를 제시한 것은 없으며, 향후 비관세조치 작업반을 통해 의제를 구체화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