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 및 유동성 지표 추이. 자료= 한국은행 |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지난해 11월 통화량이 27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정기 예·적금에 돈이 몰리면서다.
17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11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785조3000억원으로 10월 대비 0.7%(27조3000억원) 불었다.
M2 통화량은 작년 4월부터 8월까지 5개월 연속 늘었다가 9월 증가율이 0%로 떨어졌지만, 10월과 11월 두 달 연속 급증했다.
M2는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로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금융상품 중 2년 미만 정기 예·적금이 58조4000억원 급증했다.
이는 특히 지난 2001년 12월 해당 통계가 시작된 이래 증가 폭이 역대 가장 컸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금리 상승과 안전자산 선호 현상의 영향으로 정기 예·적금이 큰 폭으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 |
화폐. 사진= 연합뉴스 |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에서는 각 19조1000억원, 13조8000억원이 빠져나갔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의 감소 폭 역시 통계가 집계된 이후 최고 기록이다.
이는 금리가 더 높은 정기 예·적금으로 자금이 대거 이동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제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와 기업에서 정기 예·적금을 중심으로 각 14조1000억원, 3조8000억원의 유동성이 증가했다.
M1은 11월 평균 1260조3000억원으로 한 달 새 2.7%(34조4000억원) 감소했다.
M1은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금식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현금 통화와 결제성 예금이 모두 축소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지난해 11월 통화량이 27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정기 예·적금에 돈이 몰리면서다.
알파경제 임유진 (lyjin0305@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