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월 최대 90만 장의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요청했다며 인공지능(AI)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오프닝 스피치에서 "스타게이트와 관련해 샘 올트먼 CEO의 HBM 요청은 AI 반도체 수요 급증과 메모리 공급 병목 현상을 인정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AI는 버블일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많은 기업과 AI 플레이어들은 AI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 수요 폭증 근거로 B2B(기업 간 거래) 분야의 AI 도입, AI 에이전트의 등장, 그리고 '소버린 AI'를 꼽았다.
그는 "기업들이 AI를 도입하지 않으면 도태된다고 여기고 있으며, 이제는 나라까지 더해져 경쟁적으로 정부 주도 AI 투자를 내놓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SK그룹은 생산 능력을 대폭 확대한다.
최 회장은 "수요 예측에 따라 당초 계획에 없던 청주 HBM 공장을 완공해 내년부터 본격 생산에 들어간다"며 "2027년에는 청주와 같은 규모의 공장 24개가 새로 생기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도 오픈한다"고 밝혔다.
기술 개선과 최적의 AI 인프라 구축도 대응 방안으로 제시했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은 이미 증명됐다"며 "젠슨 황 엔비디아 CEO도 더 이상 (SK 측에) 개발 속도를 이야기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이어 "SK는 데이터센터 구축부터 반도체, 전력, 에너지솔루션까지 제공해 가장 효율적인 AI 인프라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한다"며 "메모리반도체 생산 속도를 높이고 데이터센터 운영 자동화에 AI 적용을 늘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파트너사와의 협업을 AI 전략의 핵심으로 꼽았다. 그는 "AI는 혼자 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다"라며 "SK는 파트너와 경쟁하지 않고 빅테크, 정부, 스타트업 등과 AI 사업 기회를 만들어 최고 효율의 솔루션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올트먼 CEO가 영상으로 등장해 "각 개인이 지능형 AI 비서를 계속 활용하려면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며 "SK와 같은 파트너십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star@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