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하 시기가 아직 아니라는 뜻을 강조했다. 국제유가와 미국의 통화정책 등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안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쉽사리 재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13일(현지시각) 이 총재는 해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에 대해 “현재 수준이 인플레이션을 자동적으로 줄일 만큼 ‘충분히 제약적’이라는 메시지를 주고 싶지 않다”고 밝혔다.
통화정책 선회는 “데이터에 달려 있다(데이터 디펜던트)”며 우리나라의 물가상승률이 연말에 3%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란 예상이 맞는지 확인하고, 물가가 예상 경로대로 간다고 확신한 후에야 입장을 바꿀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연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시장의 기대가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위원들의 생각보다 앞서 있다”고 지적했다.
해외 언론은 이 총재의 이같은 입장에 “중앙은행의 인플레이션 싸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고 평했다.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사태 이후 세계 금융 시장 불안이 한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SVB에 대한 노출이 상당히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은 크게 없었다”며 “불안이 잘 억제될지가 우려됐는데 아직까지는 괜찮아 보인다”고 일축했다.
또 SVB 파산 사태가 한국에서 벌어질 시 미국보다 예금 인출 속도가 100배는 빠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청년층의 디지털 뱅킹 같은 것이 한국은 훨씬 더 발전돼 있고 예금 인출 속도가 빠르다. SVB와 비슷한 일이 한국에서 일어난다면 미국보다 100배 더 빠를 것”이라며 “일일 결제 담보 수준을 높이는 등 디지털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이 총재는 주요 20개국(G20) 중앙은행 총재 회의,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그룹(WBG)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에 머물고 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