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연합뉴스 |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작년 하반기 은행 대출의 신규 연체율이 상승했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중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신규 연체율(12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11월 말 대출잔액)은 0.07%로 전월 대비 0.01%포인트(p) 올랐다.
지난해 하반기 신규 연체율은 7월 0.04% 에서 8∼9월에는 0.05%, 10∼11월에는 0.06% 수준까지 상승한 뒤 12월에는 0.07%로 오르며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지난해 하반기에 금리가 지속해서 상승하자 취약 차주들의 상환 여건이 어려워지며 신규 연체율이 소폭오르는 양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12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1조6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2천억원 증가했다.
![]() |
사진= 연합뉴스 |
신규 연체 발생액은 지난해 7월 9천억원 수준이었다가 8월에는 1조1천억원, 10월 1조2천억원, 11월에는 1조4천억원, 12월에는 1조6천억원까지 오르는 등 점진적인 오름세를 나타냈다.
그러나 연체 채권 정리규모(1조9천억원)가 전월보다 1조1천억원 증가했다.
이에 누적 연체율이 하락했다.
지난해 1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0.25%로 전월보다 0.02%포인트(p) 낮아졌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신규 연체 발생액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연체 채권 정리 규모가 증가하면서 연체율이 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상 은행은 분기 말에 연체 채권 관리를 강화하기 때문에 연체율은 분기 중 상승했다가 분기 말에 하락하는 흐름을 보이곤 한다.
알파경제 임유진 (qrq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