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11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에서 CFD 계좌 3400개에 대한 전수조사를 예고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가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주가폭락 사태'의 배경으로 지목된 증권사 차액결제거래(CFD) 계좌 약 3400개를 대상으로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연계 여부를 집중 점검한다고 14일 밝혔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융위(자본시장조사과)는 지난 4월 중순 발생한 주가조작 사태에 대한 조사에 착수한 후 상당수의 CFD계좌가 주자조작 사태에 관여되었음을 확인했다.
이후 국내 증권사(13개) 및 외국계 증권사(5개)가 보유한 다른 CFD계좌를 긴급히 확보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증권사 보유 CFD계좌는 약 3400개 정도로 파악된다.
이번 점검은 증권사가 보유 중인 CFD계좌에 대해 2020년 1월~올해 4월 말 기간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CFD계좌정보를 확보하는 대로 즉시 거래소와 공유하고 있는 가운데, 이후 거래소 점검결과 이상거래 혐의가 포착될 경우 금융위와 금감원이 즉시 조사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 |
한국거래소 전경. (사진=연합뉴스) |
한국거래소의 CFD계좌 집중점검은 다음 주부터 본격 시작될 예정이며 2개월 내 점검 완료를 목표로 빠르게 진행할 계획이다.
통상 거래소의 이상거래 점검에 약 3.5개월이 걸리지만, 이번 집중점검은 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 내 특별점검팀 신설 등을 통해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한다. 아울러 점검 결과에 따라 필요한 경우 CFD계좌 개설이 본격화된 16년까지 점검기간을 확대하여 점검할 예정이다.
거래소는 CFD계좌를 활용한 시세조종, 부정거래, 이번 사태와 유사한 혐의거래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볼 계획이다.
이번 주가조작 사태와 관련 금융당국은 지난 "앞으로도 검찰.금융위.금감원.거래소 등 관계기관이 긴밀히 협력하여 혐의가 의심되는 부분에 대한 수사와 조사가 신속하고 철저하게 이루어지도록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