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금 더 걷고 남은 잉여금 9.1조원...8년 연속 재정 흑자

유정민 / 기사승인 : 2023-02-10 15:49:20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제공)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지난해 나라 살림에서 쓰지 못한 예산이 13조원에 육박, 세금에서 지출하고 남은 잉여금 또한 9조원을 넘겼다. 


9일 기획재정부는 한국재정정보원에서 추경호 부총리 겸 장관 주재로 2022 회계연도 총세입부와 총세출부를 마감하고, 세입·세출 실적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총세입은 573조9000억원, 총세출은 559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총세입에서 총세출을 뺀 결산상잉여금은 14조2000억원으로, 이 중 이월액 5조1000억원을 제외한 일반·특별회계 세계잉여금은 9조1000억원이다. 지난 2015년 이후 8년 연속 재정 흑자를 기록한 셈이다.

흑자에는 국세 수입 등 총세입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총세입은 전년 대비 49조8000억원 증가했다. 국세 수입은 395조9000억원으로 당초 예산보단 7000억원 덜 걷혔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51조9000억원 더 걷혔다. 세외 수입은 예산 대비로는 더 걷혔지만 전년과 비교해 2조1000억원 줄어든 178조원으로 집계됐다.

세목별로 보면 법인세가 전년 대비 33조2000억원이 늘어 총세입 증가에 크게 기여했고, 소득세(14조6000억원)·부가가치세(10조4000억원)·관세(2조1000억원) 등도 세수가 늘었다. 2021년 코스피 결산법인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58.2% 크게 늘고, 지난해 소매판매액도 6.5%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반면 총세출은 예산 577조7000억원 중 559조7000억원을 집행해 전년 대비 62조8000억원 증가했다. 예산집행률은 96.9%로 전년(97.6%)보다 소폭 하락했다.

세계잉여금은 일반회계에서 6조원, 특별회계에서 3조10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일반회계 세계잉여금은 국가재정법에 따라 지방교부세·교부금 정산에 쓰인 뒤 공적자금 출현, 채무상환, 추가경정예산 편성 또는 세입이입 등에 순차적으로 쓰인다. 특별회계 세계잉여금은 개별법령에 따라 자체세입 조치될 예정이다.

불용예산은 12조9000억원이며 불용률은 2.2% 수준으로 4년 만에 가장 높았다. 

다만 과거와 비교해 지출 규모가 두 배 가까이 늘어난 만큼 불융 규모도 일정 부분 늘어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다. 특히 코로나19 대응 사업 예산 일부가 집행되지 않은 점, 종합부동산세가 줄며 지방으로 내려가는 교부세가 감소한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앞서 정부는 세계잉여금과 초과세수 등을 활용해 추경을 편성한 바 있다. 나머지 특별회계 세계잉여금은 각 회계 근거 법령에 따라 자체 세입 조치를 하는데 쓰일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마감 실적을 토대로 국가결산보고서를 작성해 감사원 결산검사 후 5월 말일까지 국회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NH농협은행, 소상공인 지원 'NH법인·소호 성장동행센터' 개소2025.11.10
카카오페이손해보험, 휴대폰보험 개정…아이폰 보상 확대·갤럭시 '즉시 지급' 도입2025.11.10
"1460원 돌파한 환율, 금융시장 악재 아닌 오히려 호재"2025.11.10
한국콜마, 레거시 브랜드·해외 법인 부진에 실적 전망 하향-SK증권2025.11.10
'1800억 부당대출' 성남지역 새마을금고 임직원 등 6명 송치2025.11.10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