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국민연금공단) |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국민연금이 금융지주사들의 사외이사 재선임에 반대하고 나섰다. 사외이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했냐는 의문이다.
24일 국민연금기금 수탁자책임 전문위원회는 전날 제4차위원회를 열고 KB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등의 올해 첫 주주총회 안건 중 사외이사 선임에 대해 반대했다.
국민연금은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의 지분을 각각 7.94%, 8.78% 보유한 최대주주다. 우리금융지주의 지분은 6.84% 보유해 우리사주조합에 이어 두 번째로 지분율이 높다.
국민연금은 우리금융지주의 주총 안건 중 정찬형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에 대해 감시의무가 소홀했다는 평가를 하며 반대 의견을 냈다. 정 씨는 2018년부터 4년간 우리금융지주 사외이사를 맡아왔다. 지성배 IMM인베스트먼트 대표(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의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신규 선임에 대해서도 이해관계 충돌 우려로 반대하기로 했다.
국민연금은 우리금융지주의 주총 안건 중 정찬형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선임에 대해 감시의무가 소홀했다는 평가를 하며 반대 의견을 냈다. 정 씨는 2018년부터 4년간 우리금융지주 사외이사를 맡아왔다. 지성배 IMM인베스트먼트 대표(한국벤처캐피탈협회장)의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 신규 선임에 대해서도 이해관계 충돌 우려로 반대하기로 했다.
하나금융지주의 김홍진·허윤·이정원·양동훈 각 사외이사 재선임의 건 및 허윤 감사위원 재선임도 반대 목소리를 냈다. 역시 감시 의무에 소홀했다는 이유에서다. 서강대 국제대학원 교수인 허윤 이사는 사외이사 임기만 8년(하나은행 3년·하나금융지주 5년)째 맡고 있는 금융지주 내 최장수 사외이사다.
금융회사 지배구조법에 따르면 금융지주와 계열사에서 최대 9년까지 사외이사를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민연금이 이에 반대하고 나섰다. 오랜기간 연임하며 그 의무를 충실히 했냐는 것이다.
KB금융지주의 사외이사 선임 안건에 대해서도 반대했으나 위와 같은 이유와는 다르다.
임경종 사외이사 선임의 건에 대해 노동조합 추천 임원의 선임이 전체 주주 가치 제고로 이어질지 의문이 있다는 등 이유로 반대했다.
그러나 국민연금의 반대에 장수 사외이사들의 연임이 중단될지는 미지수다.
앞서 국민연금은 신한금융 진옥동 회장 선임 안건에 대해 반대하며 "기업가치 훼손 및 감시 의무 소홀"을 이유로 들었으나 지난 23일 반대표가 무색하게 무난히 의결된 바 있다.
알파경제 임유진 (qrq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