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코스피, 美 관세부과 유예에 낙폭 일부 만회…2480선 회복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5-02-04 16:54:04
  • -
  • +
  • 인쇄
4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스크린에 코스피, 원·달러 환율이 표시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미국의 대(對)캐나다·멕시코 관세 유예 소식에 투자심리가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4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7.74포인트(1.13%) 오른 2481.69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수는 2481.44로 상승 출발한 뒤 장중 2500선을 웃돌기도 했으나, 미국의 대중국 추가 관세 부과 시행 소식에 상승폭을 일부 반납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92억원, 1237억원을 순매수하며 상승을 이끌었고, 개인은 2932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3.26%), 서비스업(2.18%), 전기·전자(1.66%), 운수장비(1.60%)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전기가스업(-0.89%), 통신업(-0.43%), 제약(-0.38%) 등은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우(3.59%), 삼성전자(3.33%), KB금융(2.82%), 셀트리온(0.80%), NAVER(0.69%), 기아(0.62%), SK하이닉스(0.10%) 등이 올랐습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2.10%), LG에너지솔루션(-1.04%), 현대차(-0.50%) 등은 하락했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12포인트(2.29%) 오른 719.92로 마감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712억원, 480억원을 순매수했고, 개인은 4101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레인보우로보틱스(9.85%), 알테오젠(6.10%), 리가켐바이오(5.25%), 에코프로(3.67%), 휴젤(2.77%), 에코프로비엠(1.09%), HLB(0.75%) 등이 상승했습니다.

리노공업(-2.88%), 삼천당제약(-2.81%), 클래시스(-0.94%) 등은 하락했습니다.

그럼 오늘의 특징주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일 오후 서초구 서울고법에서 열린 그룹 경영권 승계 관련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항소심 선고공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부당합병·회계부정 의혹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이재용 회장 효과로 삼성전자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이날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3.33%(1700원) 오른 5만27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전날 서울고등법원은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로 기소된 이 회장에게 1심과 동일하게 전부 무죄를 선고했습니다.

재판부는 검찰이 제출한 주요 증거의 증거능력을 인정하지 않았고, 부정거래 행위와 회계부정에 대한 검찰의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증권가에서도 이 회장의 사법리스크 해소 후 삼성전자의 주가 상승을 점치고 있습니다.
 

LIG넥스원 사옥. (사진 = LIG넥스원)


LIG넥스원이 4분기 실적 호조에 힘입어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LIG넥스원은 전 거래일 대비 8.55%(1만9500원) 상승한 24만7500원에 마감했습니다.

장중에는 25만5000원까지 오르기도 했습니다.

전날 장 마감 후 발표한 4분기 실적에서 연결 매출액 1조1687억원, 영업이익 62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시장 전망치(529억원)를 19% 상회하는 호실적입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마감] 코스피, 사상 첫 3940선 돌파…'사천피' 눈앞2025.10.24
서울 전세 매물 잠김 현상..전세 월세화 가속화 되나2025.10.24
"10·15 부동산 대책 부정 평가가 긍정보다 많아"2025.10.24
농협은행 금융사고 절반은 '내부 소행'..."기강해이 심각"2025.10.24
NH농협은행, '365일 24시간 펀드투자 시스템' 도입2025.10.24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