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금융당국이 국내 모든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등 대체투자 자산 운용 현황에 대한 점검에 나섰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달 초까지 은행·보험·증권·상호금융·저축은행 등 전 금융사를 대상으로 대체투자 자산운용 현황에 대한 전수 조사를 진행했다.
대체투자는 주식·채권 이외의 부동산·인프라·사모펀드 등에 대한 투자를 뜻한다. 고위험·고수익이 특징이다.
이번 조사는 앞서 금감원이 지난 2월 ‘2023년 9월 말 기준 금융회사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현황’ 발표에서 내놓은 향후 감독 방향과는 별개다.
보험업권의 경우 올해 들어 최근까지 300억원 이상 규모 만기 도래 대체투자 자산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받았다.
금감원은 이번 조사를 시작으로 매달 초 금융사로부터 대체투자 자료를 취합해 해외 투자 내역을 사업장 단위로 데이터베이스(DB)화할 계획이다.
금감원이 대대적인 점검에 나선 것은 해외 대체투자 자산 부실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이 지난 2월 발표한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내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6조 4000억원으로 이 중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한 규모는 2조 4600억원(개별 부동산 기준)이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EOD 규모가 1조 330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3개월 만에 1조원 넘게 급증한 수준이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국내 보험사가 보유한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31조 9000억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전체의 57%에 달한다.
이 밖에 은행 10조 1000억원(18%), 증권 8조 4000억원(15%), 상호금융 3조 7000억원(7%) 순이다.
다만 금융권 총자산(6800조 9000억원) 중 해외 부동산 투자 잔액은 0.8% 수준에 불과하다.
때문에 금감원은 대체투자 손실이 국내 금융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금감원 측은 “은행은 지난달 말 은행업 감독업무 시행세칙 개정을 통해 대체투자 자산운용 현황을 업무 보고서에 포함하도록 했다”며 “대체투자 자산 비중이 높은 보험사 등 타 금융사에 대해서도 상시 감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