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증권사 간판.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지난해 증권사들의 당기순이익이 전년 대비 반토막으로 줄었다. 주식 거래대금이 줄어든 데 따른 수수료 감소와 이자 비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23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증권·선물회사 영업실적’에 따르면 58개 증권사의 작년 당기순이익은 4조 5131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던 전년(9조 896억원) 대비 50.3%(4조 5765억원)나 급감한 수준이다.
금감원은 “주식거래대금이 줄어들면서 수탁 수수료가 큰 폭으로 감소했고 금리 인상·주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주식·채권매매 이익이 축소되는 등 대부분의 영업 부문 실적이 부진했다”고 밝혔다.
조사 대상인 58개 증권사 중 46개사(79.3%)는 실적이 전년보다 악화됐고 12곳(20.7%)은 개선됐다. 순손실을 낸 증권사도 전년보다 5곳 늘어 11곳에 달했다.
지난해 증권사들의 수수료수익은 전년 대비 22.5% 감소한 13조 185억원으로 집계됐다. 수탁수수료는 5조 109억원으로 주식 거래대금 감소에 따라 전년 대비 37.9% 줄었다. 기업금융(IB) 부문 수수료와 자산관리 부문 수수료도 각각 6.8%, 15.1% 감소했다.
증권사들의 자기매매손익은 6조 1274억원으로 전년 대비 23.8% 증가했다. 파생관련 손익이 전년 대비 375.6%(4조 6091억원) 급증해 5조 1526억원으로 늘어난 영향이다.
![]() |
증권회사 주요 항목별 손익현황. (사진=금융감독원) |
주식·채권 관련 손익은 주요 주가지수 하락 및 금리 상승에 따라 각각 80.2%, 70.5% 급감해 3371억원, 1조 5262억원을 기록했다.
기타자산 손익도 1조 1669억원으로 전년 대비 74.2%(3조 3549억원)나 줄었다. 펀드 관련 손익이 전년 대비 407.5%(3조 4620억원) 감소한 영향이 컸다.
판매관리비는 전년보다 1조 2294억원(10.2%) 감소한 10조 8543억원이었다.
증권사들의 자산 총액은 608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2.1% 감소했다. 투자자예치금 감소와 금리 상승 등으로 인한 회사채 보유액이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증권사들의 부채 총액은 527조 8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9% 감소했다. 매도파생결합증권(ELS)은 증가한 반면 예수부채와 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는 각각 25.2%, 16.5% 감소했다. 증권사들의 자기자본은 80조 2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3.4% 증가했다.
건전성 지표인 평균 순자본비율은 708.9%로 전년 말 대비 35.3%p 줄었다. 다만 모든 증권회사의 순자본비율은 규제 비율인 100% 이상을 웃돌았다.
평균 레버리지 비율도 전년 말 대비 16.5%p 하락해 619.3%였다. 역시 모든 증권사가 규제 비율인 1000% 이내를 충족했다.
금감원은 “증권사 당기순이익은 위탁매매수수료 감소, 이자비용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대폭 감소했다”며 “올해도 미국 긴축정책 장기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등 글로벌 경제 불안 요인이 국내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확대시킬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선물회사 4곳의 당기순이익은 531억 6000억원으로 전년(340억원) 대비 191억원(+56.2%) 증가했다. 해외 주가지수 관련 파생상품 투자수요가 확대된 덕분이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