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전국 CBDC 송금 정상 작동”… 시범운영 가능성 시사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8 17:43:40
  • -
  • +
  • 인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4월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한국은행이 추진 중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테스트가 모의실험에 이어 국내 금융기관과의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정상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성능개선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64개 주요 기본 기능 정상 작동

 

한은은 작년 7월부터 12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진행한 ‘CBDC 모의시스템 금융기관 연계실험 결과’를 8일 발표했다. CBDC는 전자적 형태로 발행되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를 말한다.
 

CBDC 모의시스템 실험환경 비교. (사진=한국은행)

 

이번 실험은 14개 은행과 금융결제원 등 15개 금융기관과 연계해 모의시스템이 보다 현실에 가까운 환경에서도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다.

각 금융사는 클라우드 사업자가 운영하는 인프라 또는 자체 IT 테스트 서버에 한국은행이 개발한 ‘참가 기관 시스템’을 설치하고 이를 ‘CBDC 모의 시스템’과 연결하는 방식으로 참여했다.

우선 CBDC의 64개 주요 기본 기능은 금융기관 연계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주요 기능은 CBDC 발행·환수, 기관용 지갑 생성 등 중앙은행 시스템과의 연계, CBDC 지급·수납, 이용자용 지갑 생성 등 이용자 지갑 관리, 이용자 간 CBDC 송금 등이다.

◇ 성능실험서는 성능 저하 문제점 발견

 

한은과 금융기관들은 추가로 ▲ 초당 거래 입력 건수 증가 ▲ 동시 활성 이용자 수 증가 ▲ 거래 대기열 크기 축소 ▲ 블록 구성 비중 조정의 4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성능 실험도 수행했다.

거래 입력 수를 늘린 결과 1초당 거래 처리 건수(TPS)는 앞서 단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CBDC 모의시스템을 실험한 값(2100건 수준)보다 10% 정도 적은 1900건으로 측정됐다.

한은은 이와 관련 국내 주요 소액지급결제 인프라인 전자금융공동망의 현재 TPS가 최대 1200건 정도(월말·급여 이체일 등)인 만큼, 10% 정도의 성능 저하는 수용할 수 있는 범위라고 설명했다.

참가 기관별 처리 성능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클라우드는 사업자에 따라 성능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체 IT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메모리 용량이 같더라도 CPU의 성능에 따라 결과가 최대 3배까지 차이가 났다.
 

한국은행의 연계 실험 시 초당 거래입력 건수별 처리량과 응답대기시간 결과. (사진=한국은행)

 

응답 대기 시간도 최대 5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당 거래 건수가 1400건일 경우 모의실험보다 연계 실험에서 4.8배의 시간이 걸렸다. 2800건일 경우는 연계 실험이 3.1배 더 걸렸고, 4200건일 경우는 2.7배였다.

한은 관계자는 “네트워크 딜레이는 기존 수도권 1곳에서 전국 단위로 확대됐고 노드 간 편차로 장애를 일으키면서 응답대기시간 지연이 나타났다”라면서 “추가 연구와 현재 요구기준(코어 수, 메모리 크기)을 포함해 세부화된 요구기준을 적용하면 응답대기시간은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한은은 모의실험에서 확인된 분산원장 처리 성능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블록 생성 시 더 많은 거래를 포함하는 방안도 모색했다. 그 결과 특정 노드의 문제로 블록 생성 시 오류가 발생했고 관련 기능을 수정했다.
 

한국은행. (사진=연합뉴스)


◇ 도입 시기는 미정… 시범운영은 가능

한국은행은 구체적인 CBDC 도입 시점에 대해서는 확답을 피했지만 연구개발 과정을 고려해 시범운영 등에 나설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은 관계자는 “이번 연구는 CBDC가 도입됐을 때를 가정해 준비하는 것으로 기술적으로는 해외와 견줘 우리가 뒤지지 않으며 시범운영 등은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계 실험은 자체 시설과 비용을 투입해서 참여한다는 회사는 참가 대상 모집을 통해 추가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토스증권, 주식모으기 수수료 무료화 시행으로 고객돈 32억 절감2025.09.16
Sh수협은행, 트리니티자산운용 인수...포트폴리오 다각화2025.09.16
케이뱅크,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송금 인프라 혁신 가능성 입증2025.09.16
빗썸, 모바일신분증 정부앱·민간앱 인증 확대...국내 거래소 최초2025.09.16
국내 증시 활황에도…넥스트레이드 거래대금 '뒷걸음질'2025.09.16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