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경제=영상제작국] D램 가격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실적 개선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기관은 3분기에 최대 13%의 추가 인상을 예상하고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15일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분기 D램 평균거래단가(ASP)는 전 분기 대비 13~1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수요 증가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한 공급 불안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트렌드포스는 3분기 D램 가격 인상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5%포인트(p) 상향 조정하여 8~13%로 예측했습니다. 이는 당초 예상보다 높은 수준으로, 중국 데이터센터 업체들의 공격적인 재고 확보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트렌드포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데이터센터 업체들이 미국의 제재 우려로 인해 2분기부터 서버용 D램 구매 규모를 두 배로 늘리는 등 공격적인 재고 비축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 인해 미국 데이터센터 업체들도 조달 가격 인상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향후 D램 가격 전망에 대해 낙관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습니다. 트렌드포스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DDR5보다 HBM(고대역폭메모리) 생산을 우선시하고 있어 향후 몇 분기 동안 D램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습니다. 이러한 D램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세는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기업들의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