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가계대출·연체율 증가에도 “문제없다”

김다나 기자 / 기사승인 : 2023-05-25 17:58:08
  • -
  • +
  • 인쇄
금융감독원.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최근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돌아섰고 금융기관 연체율도 증가 중이다. 특히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에서 연체율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늘면서 건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금융당국과 감독당국은 우려할 만한 수준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25일 ‘가계대출 동향 및 건전성 점검회의’를 열고 “현재의 연체율은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나 저축은행 사태 등의 시기에 비해서는 양호하다”며 “건전성·안정성을 위협할 정도의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가계대출 증가폭은 제한적이고 연체율도 코로나19 발생 직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귀했을 뿐이라는 설명이다.

3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은 0.33%로 지난해 말 대비 0.08%포인트(p) 증가했다. 전년 말 증가 폭(-0.04%p)과 2019년 말에서 2020년 말 증가 폭(-0.08%p)과 비교하면 증가 속도가 빠르다.

2금융권의 경우 증가 속도가 훨씬 빠르고 연체 수준도 높다. 저축은행의 3월 말 원화대출 연체율은 5.07%로 지난해 말 대비 1.66%p 올랐다. 3개월 만에 지난해 연간 증가 폭을 따라잡았다.

같은 기간 상호금융의 연체율도 2.42%로 0.90%p 상승하고 여전사는 1.53%로 0.33%p 올랐다.

국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지난 4월 전월 대비 2000억원 증가세로 돌아섰다. 고금리 여파로 줄기만 하던 가계대출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8개월 만이다.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모기지가 4조 7000억원 늘어난 영향이 컸다. 다만 정책모기지를 제외한 집단·전세·신용대출과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4월에도 감소세를 지속했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문제는 연체 증가 폭”이라며 “상호금융과 저축은행의 증가 속도가 예상보다 빨라 이 속도면 앞으로 이들은 연체 리스크를 감당하기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가 끝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작년 연말에 전체적으로 (연체가) 걱정이었다면 이제는 소수의 금융기관 등에서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준수 금감원 부원장도 올해 들어 연체 증가속도가 빠른 부분을 우려했다. 그는 “문제는 언제까지 지속될 것이냐의 여부인데 수일 내 호전될 상황이 아니다”라고 판단했다.

또한 그는 “(연체 급증 배경에) 제도적인 요인과 마찰적 요인이 있다”며 “저축은행이나 여전사는 한두 달 된 연체 채권을 매각해 왔는데 캠코의 매입가격이 민간보다 낮다 보니 매각을 미루면서 부실채권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관건은 신규 연체 규모”라며 “신규 연체는 부동산 프로제트파이낸싱(PF) 브릿지론에서 올라가고 있지만 하반기에는 완화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근 은행에서 햇살론 등의 보증부 대출 연체액이 3천억원까지 치솟은 점도 우려되는 요소다. 하지만 금감원에선 저축은행의 빠른 연체 속도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오는 9월 코로나19 관련 대출의 만기연장상환유예 종료에도 은행의 건전성은 지장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지난 3월 말 상환유예 여신의 절대 규모가 6조 6천억원으로 크지 않고 80% 이상은 은행에서 취급돼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은행권 만기연장 규모(78조 7천억원) 중 상환유예 여신(5조 3천억원)이 전액 연체돼도 연체율은 0.57%로 과거 10년 은행 장기 평균 연체율(0.78%)보다 낮다고 설명했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rosa3311@alphabiz.co.kr)

주요기사

Sh수협은행, 트리니티자산운용 인수...포트폴리오 다각화2025.09.16
케이뱅크, 스테이블코인 글로벌 송금 인프라 혁신 가능성 입증2025.09.16
빗썸, 모바일신분증 정부앱·민간앱 인증 확대...국내 거래소 최초2025.09.16
국내 증시 활황에도…넥스트레이드 거래대금 '뒷걸음질'2025.09.16
[경제용어 나들이] 명목 GDP와 실질 GDP: 경제 성장의 두 얼굴 : 알파경제TV2025.09.16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