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 최창원의 스카이코비원 결국 실패...SK바이오사이언스, EMA 조건부 허가 철회

김종효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4 18:56:57
  • -
  • +
  • 인쇄
최창원 SK 디스커버리 부회장.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종효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유럽식약처(EMA)에 신청한 스카이코비온 조건부 허가를 철회했다.

4일 인공지능분석프로그램 <타키온>에 따르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같은 내용을 지난 1일 공시했다.

스카이코비온은 코로나 백신이다. 국내 백신업계의 터줏대감은 녹십자였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지배기업인 SK디스커버리의 최창원(59) 부회장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코로나 백신 1호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차지했다.
 


 

결과물이 스카이코비온이다. 작년에 개발을 완료하고 SK바이오사이언스는 EMA에 조건부 판매 승인을 신청했다. 1년 1개월 만에 SK바이오사이언스는 신청을 철회했다.

이유는 코로나의 변이 때문이다. WHO(World Health Organization·세계 보건기구)는 코로나의 시작이었던 우한 바이러스 대신에 변이인 XBB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개발을 권고했다.

조호진 타키온월드 대표이사는 알파경제에 "허가 철회로 결국 SK바이오사이언스는 헛심만 쓴 셈이 됐다"면서 "이번 사태로 백신 사업이 고난도 분야라는 점만 확인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코로나19 백신 스카이코비원멀티주. (사진=SK바이오사이언스)


중국은 코로나 백신을 자체 개발했다고 공언(公言)했지만, 공언(空言)으로 끝났다. 효과도 없고 심지어 부작용까지 있었다.
 

SK바이오사이언스의 스카이코비온은 백신 효과는 있었지만, 바이러스 변이라는 장애물 속에 개화하지 못했다.

이런 악재 속에서도 4일 SK바이오사이언스의 종가는 0.28%로 선방했다. YTD는 SK바이오사이언스는 -1.90%, 녹십자는 -10.71%를 각각 기록했다.
 

SK바이오사이언스, 녹십자, 올해 주가 차트. (사진=구글)


양사는 패치형 백신 개발에 사력을 다하고 있다. 기존 주사제형 백신이 아닌 붙이는 패치형 백신은 편의성이 높아져서 개발을 완료하면 주가가 한 단계 상승할 전망이다. 패치형 백신은 통증은 미약하면서도 자가 접종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녔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장티푸스 백신을, 녹십자는 독감 백신을 패치형으로 각각 개발하고 있다.

알파경제 김종효 기자(kei1000@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이번주 초미의 관심사 FOMC, 인하 후 긴축 강도 축소 전망2025.09.16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2025.09.16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2025.09.15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2025.09.15
[심층] PG업계, 금감원 가이드라인에 반발..."본질 벗어난 규제"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