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통화정책·달러방향 고려시 매수 시점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1 23:00:57
  • -
  • +
  • 인쇄

 

신흥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 증가

 


미국 연준의 금리 인상과 달러 강세로 한동안 소외되던 금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통화정책과 글로벌 경기 국면의 변화를 고려할 때 금을 매수하기 적절한 국면이라는 조언도 잇따른다.

하나증권은 12일 지난해 3분기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이 약 400톤에 달하며 통계 발표를 시작한 이래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터키, 우즈베키스탄, 인도, 카타르 등지에서 금 매입이 크게 늘어났다. 중국도 11월, 12월 연속으로 금을 32톤, 30톤 가량 매입해 2019년 이후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 러시아의 금 매입 규모도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전쟁 이후 러시아 자산 동결로 인해 친러 성향을 가진 러시아와의 경제적 교류가 있는 신흥국들의 금 보유 유인이 늘어날 수 있다고 봤다.

전규연 하나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 사이클이 마무리되는 국면에 접어들고 있고 미 달러도 약세를 보이면서 전 세계 중앙은행 입장에서도 금을 매입하기 적절한 시기로 판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세계 금 협회(WGC)가 중앙은행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설문조사를 보면 향후 12개월 내 전세계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이 증가할 것으로 보는 시선이 52%에서 61%로 증가했다.

금은 이자를 제공하지 않아 금리 상승 국면에는 매력적이지 않은 자산이지만, 변동성이 높거나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때 선호도가 높아진다.

또 글로벌 경기에 대한 경계 심리가 높아질수록 전통적인 안전 자산으로 인식되는 금에 대한 선호 심리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과거 경기 침체 국면보다 장단기금리차가 역전되며 경기에 대한 경계 심리가 높아지는 시점에 금 투자 수익률은 대체로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 연구원은 "올해 미국과 유럽의 경기 침체 확률이 각각 65%, 80%까지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포트폴리오 다변화 수단으로서 금에 대한 매수세가 이어질 공산이 크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NH농협은행, 소상공인 지원 'NH법인·소호 성장동행센터' 개소2025.11.10
카카오페이손해보험, 휴대폰보험 개정…아이폰 보상 확대·갤럭시 '즉시 지급' 도입2025.11.10
"1460원 돌파한 환율, 금융시장 악재 아닌 오히려 호재"2025.11.10
한국콜마, 레거시 브랜드·해외 법인 부진에 실적 전망 하향-SK증권2025.11.10
'1800억 부당대출' 성남지역 새마을금고 임직원 등 6명 송치2025.11.10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