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초단타 매매 시장교란 감시 강화

김교식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9 23:02:27
  • -
  • +
  • 인쇄
금융위원회. (사진=금융위)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금융당국이 컴퓨터 프로그램과 알고리즘을 활용한 초단타 매매의 시장교란 행위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새로운 불공정거래 유형과 혐의통보 기준을 마련한다.

2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초단타 매매의 특성을 반영한 별도의 혐의통보 기준을 수립해 불법 행위를 체계적으로 적발하고 제재할 방침이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초단타 알고리즘 매매에 대한 명확한 혐의통보 기준이 없었다.

이로 인해 최근 시장교란 행위로 118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시타델증권의 사례도 '풍문 유포 등 그 외의 사항' 항목으로 처리해야 했다.

현재 거래소는 주문만 넣고 실제로 체결하지 않는 '허수성 주문'이나 주문 상대방이 있는 '가장통정성 거래' 등에 대해서만 시장질서 교란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시세조종의 경우에도 허수성 주문과 미공개정보 이용 등의 유형만 존재할 뿐, 초단타 매매 관련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거래소는 이상매매 주문을 감시단계에서 포착해 심리한 뒤, 불공정거래로 판단될 경우 금융당국에 혐의를 통보한다.

이후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조사 착수 여부를 결정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번 조치는 특히 기관투자자들의 알고리즘 매매와 초단타 매매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불신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 상반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주재로 열린 공매도 토론회에서도 개인투자자들은 외국인의 초단타 거래에 대한 점검을 요구한 바 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토스, 전 세계 개인정보 감독기구에 '페이스페이' 소개2025.09.08
토스뱅크 ‘안심보상제’, 금융사기 피해 고객에 54억 지원 2025.09.08
적자성 채무 내년 1000조원 돌파…2029년 1362조원까지 급증2025.09.08
'빗자루 폭행' 유죄에도 갑질…새마을금고 이사장 논란2025.09.08
[개장] 뉴욕증시 금리인하 속도 결정할 물가 지표 주시2025.09.08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