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국민연금 공개 저격, 결국 3연임 포기한 최정우 포스코 회장

이준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01-04 07:40:49
  • -
  • +
  • 인쇄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17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제5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의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포스코그룹)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최정우 포스코 회장이 차기 회장 후보군에서 제외됐다. 지난 2018년 7월 포스코그룹 회장에 오른 최정우 회장은 3연임에 도전했으나, 결국 물 건너갔다.


외풍(外風)에 시달려 왔던 포스코의 흑역사 속에서도 최정우 회장은 이례적으로 5년 이상 회장직을 수행했다.

재임 기간 포스코를 철강에서 이차전지 소재 기업으로의 체질 개선에 성공하면서 뛰어난 경영능력을 안팎으로 인정받았다.

최정우 회장 자신도 3연임에 대한 의지가 컸던 것으로 전해진다.

항상 포스코 차기 회장 선임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낙하산 인사 논란부터 학연·혈연·지연까지 총동원되면서 그야말로 총성 없는 전쟁터와 같았다.

포스코 CEO후보추천위원회는 ▲내외부의 차별없는 공정한 기회 부여 ▲투명한 기준과 공개적 심사절차 등 논란의 불씨를 제거하기 위해 힘을 쏟아왔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사진=국민연금공단)


하지만, 국민연금이 언론을 통해 포스코그룹 차기 회장 선출 절차에 공개적으로 문제 제기하면서 포스코 CEO후보추천위원회 활동이 도마위에 오르게 된다.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한 언론매체와의 인터뷰를 통해 KT 사례를 들어 주주 이익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공평한 기회가 부여돼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포스코홀딩스 지분 6.71%를 가진 대주주다. 최정우 회장 체제에서 만들어진 회장 선출 방법과 절차가 투명하지 않다는 뉘앙스로 비친 셈이다.

여기에 CEO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는 사외이사들이 최정우 회장 재임 중 선임됐거나, 연임됐다는 점 역시 불편한 진실로 다가왔다.

포스코 CEO후보추천위원회는 국민연금의 이 같은 우려와 지적에 상당히 곤혹스러워 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2022년 3월 포스코홀딩스 출범식에서 사기를 흔들고 있는 최정우 회장. (사진=포스코홀딩스)

앞서 재계 순위 5위 포스코의 수장임에도 불구하고, 대통령과 경제계 신년인사회, 해외순방 때마다 경제사절단에 포함되지 못했다.

실제로 김태현 이사장의 인터뷰 기사가 출고된 직후 포스코 CEO후보추천위원회는 당일 새벽 1시16분경 출입 기자들에게 보도자료를 전달하면서 “선임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업에서 전달하는 보도자료가 새벽에 배포되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이다.

같은 날 오후 5시 15분경 포스코 CEO후보추천위원회는 또 다시 서치펌 추천 국내외 10개사 선정, 회사별 최대 3명씩 폭넓게 추천, 회장 선임 냉정하고, 엄중하게 임할 예정이라며, 국민연금의 눈치를 살피 듯 경계하는 분위기가 연출됐다.

결국 국민연금의 반대 1주만에 최정우 회장은 차기 회장 후보군에서 제외된 것이다.

중요한 건 최정우 회장이 자의인지 타의인지 여부다. 스스로 지원하지 않았을 수 있다는 게 그룹 안팎의 해석이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이번주 초미의 관심사 FOMC, 인하 후 긴축 강도 축소 전망2025.09.16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2025.09.16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2025.09.15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2025.09.15
[심층] PG업계, 금감원 가이드라인에 반발..."본질 벗어난 규제"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