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금융당국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만기 집중에 따른 이른바 ‘4월 위기설’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18일 ‘금융시장 현안 점검·소통 회의’에서 “PF 대출은 만기가 고르게 분산돼 있어 급격한 충격의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정부와 업계가 함께 노력한다면 부동산 PF 연착륙 기조 하에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연착륙과 질서 있는 정리’라는 일관된 정책 목표를 가지고 PF사업장 정상화를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정부는 주요국 통화정책의 기조 전환이 지연되는 점과 고금리의 장기화를 염두에 두고 지난해부터 시장 안정을 위한 준비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리 금융시장이 부정적 충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복원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국내외 충격에 의해 다소 변동성이 발생하더라도 시장 불안 요인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습니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서 최근 증가하는 금융권 연체율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던 금융권 연체율은 지난 2022년 하반기부터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국내 은행의 경우 2022년 6월 0.2% 수준이던 연체율이 지난해 11월에는 0.46%까지 올랐습니다. 상호금융 역시 2021년 12월 1.17%였던 연체율이 지난해 9월 3.1%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같은 연체율 상승은 코로나 위기 대응을 위해 도입됐던 긴급조치의 점진적 종료와 대출 증가율 하락 등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석됐습니다.
또한 과거 평균치와 비교하면 관리 가능한 범위에 있어 금융회사의 건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됐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향후 연체율 추이는 통화정책 전환 시점, 부동산 시장을 포함한 거시경제 회복 수준, 금융권의 연체채권 정리 노력 등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손실흡수능력 확충, 적극적인 매각, 채무 조정 등을 통한 건전성 관리를 철저히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이날 회의에는 금융감독원, 금융연구원, 국제금융센터, 저축은행중앙회, 여신금융협회, 농협·신협·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