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 2M 해체, 해운 치킨게임 불가피..HMM의 선택은

이연우 / 기사승인 : 2023-02-08 08:18:46
  • -
  • +
  • 인쇄
(사진=MSC, 머스크, 알파경제)

 

 

[알파경제=이연우 기자] 가장 큰 해운동맹 2M이 운영 방식의 차이 때문에 깨진다.

스위스 해운사 MSC는 지난해 덴마크의 머스크(maersk)를 제치고 세계 최대 컨테이너 선적량을 기록했다. 그 결과 MSC는 독자적으로 정기 항로 유지가 가능해져 사실상 해운동맹이 필요 없는 수준에 이르게 됐다.


이 때문에 2년 뒤인 2025년 1월 MSC와 2위 머스크는 글로벌 해상 항로의 40%를 지배하고 있는 세계 최대 해운동맹 2M 얼라이언스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관전 포인트는 종합물류 기업으로 거듭나고 있는 머스크가 독자적인 정기 항로 유지보다는 새로운 파트너 물색에 나섰다는 점이다.
 

(사진=머스크)

 


◇ 머스크, 종합물류기업으로..해운분야 MSC 대체제 필요

한치호 내외경제TV 연구위원은 “선사가 모든 항로를 다 운항할 수 없기에 선박회사 간 운송 운임·영업 조건 등에 대한 협정을 맺고 운항을 공유할 수 밖에 없다”면서 “머스크의 경우 MSC를 대체 할 파트너가 필수 불가결”이라고 말했다.

해운동맹은 공동 물량 관리와 적재로 비용을 절감하는 등 새로운 선박을 직접 투입하지 않고도 더 많은 항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 세계 주요 해운동맹은 시장의 35%를 차지하는 프랑스 CMA CGM와 중국 코스코, 대만 에버그린, 홍콩 OOCL 등의 ‘오션 얼라이언스’가 있다. 우리나라의 HMM과 독일 하파그로이드 등이 소속된 ‘디 얼라이언스’가 점유율 25%이다.

MSC와 결별이 예정된 머스크는 2M으로 해상운항 시장의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머스크는 자회사 스타 에어로 연간 항공운송 물량의 3분 1을 자체 네트워크로 소화할 계획을 세우는 등 항공화물 운송 능력을 확대하면서 종합물류회사로 변모를 꾀하고 있다.

 

(사진=MSC)


◇ 각국, 해운동맹 압박 가속..갈 길 바쁜 머스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불투명한 운임구조와 운임 급등 때문에 지난 해 컨테이너 해운시장에 대한 감시 강화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유럽연합(EU)도 FEFC(구주운임동맹)와 TSA(태평양항로안정화협의회)를 강제 해산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도 해운운임 담합 문제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해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우기훈 뮤레파코리아 수석파트너는 “공급망 위기가 불러온 해운 운임 상승은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에 한 몫 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상호 간 과당경쟁을 방지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해운동맹이 각국 정부 시선에서는 국제적인 카르텔, 깨져야 할 짬짜미로 지목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운업계는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해운 인프라 형성과 화물처리, 선박 발주 문제로 선사 얼라이언스 결성에 열을 올릴 수밖에 없다.

특히, 전 세계 40%의 해상 지배력을 보유했던 2M의 머스크는 항공운송을 포함한 종합물류 왕국의 꿈을 완벽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라도 새 파트너 물색에 바빠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사진=HMM)

◇ 해운선사 치킨게임 전망..생존전략 차원의 얼라이언스

HMM은 2018년 2M과 2년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결성한 적이 있다.

HMM 내부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HMM 측은 내심 갈 길 바쁜 머스크가 손을 덥석 잡아주길 바라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확정된 바 없기에 공식적으로는 현재 소속된 디얼라이언스에 집중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침체기에 들어선 해운 시황 속에 MSC와 머스크의 동맹 해체는 유휴 선박 회전 기회 속 치킨게임 식 힘겨루기 진입 가능성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글로벌 선사들 중 선대의 대형화와 친환경화, 효율화를 만들어내지 못한 선사들은 인수 합병 등 한진해운과 같은 처지를 걱정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2M의 해체는 글로벌 선사들의 이합집산이 불가피한 일대 지각변동을 불러 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HMM은 과거 세계 2위 선사인 머스크와 손을 잡으면서 안정적인 항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HMM의 경우 지난 코로나 성수기로 약 수조 단위 현금을 쌓아두고 있어, 해운업계의 치킨 게임이 발생해도 견뎌낼 수 있는 충분한 체력은 비축돼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HMM도 기업 생존전략 차원에서 머스크의 상황을 최대한 이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알파경제 이연우 (nsella1121@alphabiz.co.kr)

주요기사

[심층] '70주년' 증권금융 "자본시장 '안전판'에서 '성장판'으로 도약"2025.09.17
[분석] 이번주 초미의 관심사 FOMC, 인하 후 긴축 강도 축소 전망2025.09.16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2025.09.16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2025.09.15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