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정부의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부동산 대책이 서울 아파트 시장에 냉각 효과를 나타내면서 매매가격 상승세가 3주 연속 둔화되고 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둘째 주(1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9% 상승해 직전 주 0.29%보다 상승폭이 0.1%포인트 줄었다. 6월 다섯째 주(30일 기준) 이후 3주째 오름폭이 계속 축소되는 흐름이다.
대책 발표 이전까지 급등을 주도했던 강남3구와 한강벨트 지역의 둔화 현상이 특히 두드러졌다. 강남 3구가 포함된 동남권은 전주 0.37%에서 이번 주 0.26%로 상승폭이 0.11%포인트 줄어들었다.
지역별로는 강남구가 전주 0.34%에서 0.15%로 상승폭이 절반 이상 감소했고, 서초구는 0.48%에서 0.32%로, 송파구는 0.38%에서 0.36%로 각각 둔화됐다. 강동구 역시 0.29%에서 0.22%로 오름세가 약해졌다.
한강벨트로 불리는 마포구·용산구·성동구의 상승폭 축소도 뚜렷했다. 성동구는 전주 0.70%에서 0.45%로 0.25%포인트 급감했고, 마포구는 0.60%에서 0.24%로 0.36%포인트나 줄었다. 용산구도 0.37%에서 0.26%로 둔화세를 보였다.
이 밖에 양천구(0.55%→0.29%)와 영등포구(0.45%→0.26%)도 상승폭이 눈에 띄게 감소했다. 서울에서 상승폭이 확대된 지역은 중구(0.16%→0.18%)와 도봉구(0.05%→0.06%) 2곳에 그쳤다.
경기도에서도 대책 발표 직후 큰 상승세를 보였던 주요 선호지역들의 오름폭이 둔화됐다. 과천시는 0.47%에서 0.39%로, 성남시 분당구는 0.46%에서 0.40%로 각각 상승폭이 줄었다.
수도권 전체로는 전주 0.11%에서 0.07%로 오름폭이 감소했다. 서울과 경기도(0.03%)는 상승했지만 인천(-0.03%)은 하락했다.
전국 기준으로는 0.02% 상승해 전주 0.04%보다 상승폭이 축소됐다. 지방은 -0.02%로 전주 -0.03%보다 하락폭이 소폭 둔화했으나 59주째 내림세를 지속했다.
부동산원은 "일부 신축·역세권 단지 등에서는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매수 관망세가 심화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27일 정부가 발표한 6·27 부동산 대책은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입할 경우 6개월 내 실입주를 의무화했다. 다주택자의 추가 주택 구입 목적 주담대도 전면 금지됐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