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보잉(BA)이 지난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다.
IM증권에 따르면, 보잉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152억 달러로 전년 대비 30.8% 감소하고 영업손실은 37.8억 달러로 적자로 전환했다.
주당순이익(EPS)는 -5.46달러로 적자가 지속됐다.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크게 줄어들고 EPS 적자 폭도 전년동기대비 5.42달러 커졌다.
2024년 B737-9 MAX의 품질 이슈, 공급망 문제, 파업 이슈, 그리고 방산, 우주 부문(BDS)의 고정 가격 계약에 따른 비용이 반영됐다는 평가다.
2024년 119억달러의 순손실(EPS -18.3달러)을 기록했고, 2025년에는 적자 폭은 축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부진한 수익성이 예상된다.
배세호 IM증권 연구원은 "단기적인 이익의 턴어라운드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2025년 BCA 부문에서의 여객기 인도 대수가 증가하는 방향은 명확하다"며 "2024년 10월 240억 달러의 자본 조달로 마이너스의 영업활동 현금흐름도 수년 간 견뎌낼 수 있어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사의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보잉은 2024년과 마찬가지로 2025년 인도 대수 및 손익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B737의 경우 2025년 월 38~42대 인도, B787의 경우 월 7대 인도를 목표하고 있다.
보잉은 2024년 총 348대의 여객기를 인도했고(2023년 528대), 2025년 목표치를 반영하면 520~550대 수준의 인도 대수를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 |
보잉 종목진단 (출처=초이스스탁) |
실적 측면에서는 보잉은 BCA 부문은 2025년 영업 적자를 예상하고 있으며, 2026년에는 플러스 마진을 기대하고 있다.
BDS 부문은 현재 포트폴리오의 15%(KC-46A, T-7A)에서 큰 비용을 반영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포트폴리오에서 BEP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블룸버그(Bloomberg) 컨센서스 기준 보잉의 2025년 매출액은 841억 달러로 전년 대비 26.4%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14.0억 달러로 흑자가 예상된다.
배세호 연구원은 "유일하게 사업 부문에서 흑자를 기록하는 BGS(글로벌 서비스, 2024년 영업이익 36.2억달러)가 2025년에도 견조한 실적을 이어가며 BCA, BDS의 부문의 적자를 반영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