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패스트오토(VFS), 전기차 밸류에이션 프리미엄 과도"

김민영 기자 / 기사승인 : 2023-09-01 10:46:07
  • -
  • +
  • 인쇄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민영 기자] 베트남 대표 전기차기업인 빈패스트오토(VFS)가 지난달 15일 뉴욕 나스닥 증시에 상장된 이후 높은 변동성을 보이고 있다. 전기차에 대한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이 과도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빈 그룹(Vin Group)에서 설립한 전기차 기업 빈패스트오토(Vin Fast Auto)는 2018 년 전기스쿠터 판매로 시작해 2022년부터 전기차를 판매하고 있다. 현재 VF8(SUV-D), VF9(SUV-E)를 판매하고 있으며 올해 중으로 VF6(SUV-B), VF7(SUV-C)를 출시하여 모든 라인업을 전동화할 예정이다. 

 

조희승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특히 베트남 내수 전용 전기차인 VFe34(SUV-C), VF5(SUV-A)는 월 100달러 대의 이용료를 받는 배터리 구독 방식을 도입해 전기차 실 구매가를 낮추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며 "베트남 내수 전기차 포함해서 총 6 개의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VF8 의 경우 작년 12 월부터 미국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빈패스트오토는 올해 연간 전기차 판매목표를 5만대에서 2028년 100만대를 목표로 제시했다. 전기차를 생산한 지 1 년이 간신히 지난 수준이기에 판매대수는 미미하다. 올해 상반기 판매 대수는 1.8 만 대이다. 그 중 2000 대는 북미 지역으로 수출되었으며, 하반기부터 유럽 지역으로의 수출을 앞두고 있다. 

 

조희승 연구원은 "올해 연간 판매 목표는 5 만 대 수준인 것에 비해, 2028년 전기차 판매 목표는 100만대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연간 15 만 대 규모의 베트남 공장뿐만 아니라 2025 년 가동을 목표로 연간 30 만대 규모의 미국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면서도 "2023년부터 2028년까지 CAGR 82%의 성장에 대한 목표는 다소 과도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신흥국에서의 전기차 신생 업체는 처음이기에 빈패스트오토에 대한 관심은 CES 와 글로벌 각종 오토쇼에서 쏟아진 바 있다. 이러한 기대감을 반영해 현재 동사의 시가총액은 1060억 달러이며, 스텔란티스(Stellantis), 포드(Ford),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의 대표적인 완성차 업체들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출처=하이투자증권)

 

조희승 연구원은 "이는 2021년 루시드(Lucid)와 리비안(Rivian)의 상장과 유사한 흐름"이라며 "이들 두 기업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생산 진행과 실적으로 최근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두 회사 모두 상장 당시 전기차에 대한 기대감으로 높은 변동성을 보였으며, GM, Ford 보다 높은 시가총액을 기록한 바 있다. 

 

조 연구원은 "빈패스트오토의 경우, 루시드나 리비안의 사례보다 유통 물량의 비중이 현저히 낮다"며 "23억 주의 발행 주식 수 중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주식수는 1%에 그쳐 변동성이 더욱 높을 수 밖에 없음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알파경제 김민영 기자(kimmy@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日 주요은행, 스타트업 대상 '벤처 데트' 자금조달 확산2025.11.10
교세라(6971 JP), 日 항공전자(6807 JP)에 800억엔 출자…커넥터 사업 강화로 전자부품 재도약 노린다2025.11.10
‘사라지는 엔고(円高)’…日 금리 인상 기대 후퇴에 엔화 약세 지속2025.11.10
日고령자 금융소득, 의료보험료 반영 추진…최대 30배 격차 해소 나선다2025.11.10
센트러스에너지(LEU.N) 3분기 실적 예상치 하회..농축 우라늄 부족 수혜2025.11.10
뉴스댓글 >

건강이 보이는 대표 K Medical 뉴스

HEADLINE

PHOTO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