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SK바이오사이언스, R&D 증가로 영업적자 확대...신성장 동력 확보 관건

유정민 / 기사승인 : 2023-07-31 11:10:42
  • -
  • +
  • 인쇄
◇2분기 영업손실 353억원...적자 지속
◇글로벌 백신 기업 향한 R&D 투자 증가
◇높은 재무건전성 바탕 신성장동력 확보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2분기 영업손실을 내며 전 분기에 이어 적자를 지속했다.


노바백스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관련 매출이 급감한 데다, 연구개발(R&D) 비용 상승 여파로 전 분기 대비 적자폭 확대가 불가피했다.

다만 높은 재무 건전성을 바탕으로 팬데믹 이후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활동을 하고 있어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는 기대된다는 평가다.  

 

SK바이오사이언스 (사진 = SK바이오사이언스 홈페이지)

 


◇ 2분기 영업손실 353억원...적자 지속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SK바이오사이언스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은 265억원, 영업손실은 353억원이라고 공시했다.

2분기 별도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0.9% 감소한 265억원, 영업손실은 적자전환한 348억원을 시현했다.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액은 노바백스 코로나19 백신 위탁 생산 관련 매출이 급감함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큰 폭의 감소가 불가피했다.

하지만 일반백신 매출이 회복됨에 따라 전 분기 대비로는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R&D 비용상승 여파로 전 분기 대비 적자폭이 확대됐다.

박병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1분기와 마찬가지로 영업적자 발생한 것은 전년 동기 대비 노바백스 관련 매출 감소 및 R&D 비용 증가 탓"이라고 설명했다.
 

자료: SK바이오사이언스, SK증권

 


◇ 글로벌 백신 기업 향한 R&D 투자 증가

안재용 SK바이오사이언스 사장은 올해 4월 기자간담회에서 1분기 영업 적자에도 불구하고 향후 5년 동안 2조400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회사는 향후 투자를 통해 적자를 기록하는 기간을 3년 정도로 보고, 매출이나 숫자적 측면에서 본다면 3년 뒤가 턴어라운드 시기라고 내다봤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구체적으로 내부 추산 타깃 연간 투자 수익률 14%로 R&D 1조2300억원, CAPEX 1조1500억원 지출을 계획했다.

투자를 집행하는 향후 5년간 글로벌 백신 개발사로서의 색깔 바뀜 및 실적 턴어라운드를 준비하는 기간이라고 봤다.

박병국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는 독감 백신 확대 및 노바백스 정산으로 상반기 대비 매출 상승은 가능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R&D 비용은 지난 중장기 투자 계획에서 밝힌 바와 같이 증가 추세로 향후 매 분기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자료: SK바이오사이언스, SK증권

 


◇ 높은 재무건전성 바탕 신성장동력 확보

높은 재무 건전성을 바탕으로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활동들은 순항중이라는 평가다.

5월 MSD와 차세대 에볼라 백신후보물질 신규 생산 계약 체결을 시작으로 6월에는 파트너사 사노피가 공동 개발중인 PCV21 폐렴구균백신 '스카이팩(SP0202)'의 2상 데이터공개와 함께 내년 상반기 소아대상 3상 진입 및 2027년 FDA, EMA 허가신청을 발표했다.

또한 7월에는 태국 정부 산하 국영제약사 GPO와 태국 내 자체백신 생산 및 개발 인프라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인 글로컬라이제이션 '스카이쉴드'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

DP 기술이전을 비롯해 해당 공장에서 생산될 백신 DS 공급을 통해 안정적 매출 확보가 기대된다.

이동건 SK증권 연구원은 "올해 하반기에는 ADC, CGT 등 백신 외 CDMO 사업확장을 위한 인수·합병(M&A), 더욱 포괄적인 형태의 추가 스카이쉴드 계약 등 단기 및 중장기 기업가치 상승을 위한 성과들이 가시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위혜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공약한 성장 전략을 실현하는 모습은 긍정적이지만 현재의 영업 가치와 PCV21 가치만으로는 상승 여력이 제한적"이라며 "글로컬라이제이션 계약 및 사업 구체화, 백신 CMO 수주 등 영업 가치 상향 모멘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이번주 초미의 관심사 FOMC, 인하 후 긴축 강도 축소 전망2025.09.16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2025.09.16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2025.09.15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2025.09.15
[심층] PG업계, 금감원 가이드라인에 반발..."본질 벗어난 규제"2025.09.15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