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참한 정당 계약률, 4786가구 중 1400여 가구 미계약
국토부, 부동산 규제 대폭 완화에도 지방 미분양 더욱 심각
쌓이는 미분양, 서울도 1년전과 비교해 18배 급증
일각에서는 건설사와 조합의 고분양 책정이 결국 대규모 미계약 사태를 초래했다는 평가다.
◇ 처참한 정당 계약률, 4786가구 중 1400여 가구 미계약
19일 둔촌주공 재건축조합에 따르면 지난 3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 정당계약에서 계약률이 70%에 불과했다.
일반분양 총 4786가구 가운데, 1400여 가구가 계약을 하지 않은 것이다.
이 단지는 국내 최대 재건축 단지로 시공사는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롯데건설 등 국내 굴지의 대형 건설사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한 사업 현장이다.
시공에 참여한 건설사들은 계약률 고지 의무가 없다며, 관련 내용에 대한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재건축조합과 시공단은 내달 예비 당첨자를 대상으로 계약을 진행할 방침이다. 예비 당첨자 대상 계약도 미분양이 발생할 경우 오는 3월초 무순위 추첨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일각에서는 둔촌주공의 정당계약률이 40%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내놓은 바 있어 이번 계약률에 대해 ‘선방했다’는 시각도 있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완화책을 연이어 내놓으면서 부동산 경기침체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면서 “둔촌주공의 경우 국내 최대 재건축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정부에서도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고 분석했다.
◇ 국토부, 부동산 규제 대폭 완화에도 지방 미분양 물량 대거 쏟아져
정부는 둔촌주공의 계약 시점인 지난 3일 부동산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국토부는 1·3 대책에서 ▲실거주 2년 의무 폐지 ▲전매제한 8년에서 1년으로 완화 ▲12억원 초과 주택의 중도금 대출 금지 해제 ▲1주택 당첨자 기존 주택 처분의무 폐지 등의 대책을 시장에 쏟아냈다.
1.3 부동산 대책의 핵심은 기존 1주택자도 고가의 주택에 대한 중도금 대출을 허용하고, 일정 기간은 ‘갭투자’도 가능하도록 규제를 대폭 완화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둔촌주공의 대규모 미달 사태는 부동산 규제가 아닌 고(高) 분양가 때문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둔촌주공의 전용면적 59㎡의 일반 분양가는 무려 10억 6000만원에 달한다. 강동구에 있는 길동 강동 헤리티지 자이 같은 면적의 분양가는 6억5000만원~7억7000만원에 공급됐다.
경기침체 장기화 우려에 고금리 기조가 겹치면서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8%를 웃도는 실정이다. 고분양가 논란에 고금리까지 겹치면서 쉽게 분양을 받거나, 계약에 나서는 소비자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둔촌주공에서 대규모 미분양이 나오면서 주택 시장이 더 위축될 거라는 우려가 크다”면서 “둔촌주공의 경우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도 미계약이 나온 건 고분양가 논란이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 쌓이는 미분양, 서울도 1년전과 비교해 18배 급증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서울 지역의 미분양 주택 물량이 1000가구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1년 전 미분양 물량 54가구와 비교하면 18배 넘게 급증한 수치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빠르게 쌓이면서 전체 미분양 물량의 34%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기준 준공 후 분양이 안된 악성 미분양은 131가구에서 무려 340가구로 증가했다. 지난 연말부터 빠르게 악성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얘기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교수는 “더 큰 문제는 통계에 잡히지 않은 소형 도시형주택이나 주거형 오피스텔의 경우 미분양 주택이 훨씬 많은 것”이라고 말했다.
국토부, 부동산 규제 대폭 완화에도 지방 미분양 더욱 심각
쌓이는 미분양, 서울도 1년전과 비교해 18배 급증
![]() |
둔촌주공 건축 모습.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상진 기자] 정부의 전방위 부동산 지원에도 불구하고, 둔촌주공 재건축 아파트의 일반분양에 대한 정당계약이 대규모 미달 사태로 이어졌다.
국내 최대 재건축 단지인 만큼 향후 국내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를 가늠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집중됐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일각에서는 건설사와 조합의 고분양 책정이 결국 대규모 미계약 사태를 초래했다는 평가다.
◇ 처참한 정당 계약률, 4786가구 중 1400여 가구 미계약
19일 둔촌주공 재건축조합에 따르면 지난 3일부터 18일까지 진행된 정당계약에서 계약률이 70%에 불과했다.
일반분양 총 4786가구 가운데, 1400여 가구가 계약을 하지 않은 것이다.
이 단지는 국내 최대 재건축 단지로 시공사는 ▲현대건설 ▲HDC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롯데건설 등 국내 굴지의 대형 건설사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참여한 사업 현장이다.
시공에 참여한 건설사들은 계약률 고지 의무가 없다며, 관련 내용에 대한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재건축조합과 시공단은 내달 예비 당첨자를 대상으로 계약을 진행할 방침이다. 예비 당첨자 대상 계약도 미분양이 발생할 경우 오는 3월초 무순위 추첨을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일각에서는 둔촌주공의 정당계약률이 40% 수준에 그칠 것이란 전망도 내놓은 바 있어 이번 계약률에 대해 ‘선방했다’는 시각도 있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교수는 “정부의 부동산 시장 규제 완화책을 연이어 내놓으면서 부동산 경기침체를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면서 “둔촌주공의 경우 국내 최대 재건축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정부에서도 전방위 지원에 나섰다”고 분석했다.
◇ 국토부, 부동산 규제 대폭 완화에도 지방 미분양 물량 대거 쏟아져
정부는 둔촌주공의 계약 시점인 지난 3일 부동산 규제를 대폭 완화했다.
국토부는 1·3 대책에서 ▲실거주 2년 의무 폐지 ▲전매제한 8년에서 1년으로 완화 ▲12억원 초과 주택의 중도금 대출 금지 해제 ▲1주택 당첨자 기존 주택 처분의무 폐지 등의 대책을 시장에 쏟아냈다.
1.3 부동산 대책의 핵심은 기존 1주택자도 고가의 주택에 대한 중도금 대출을 허용하고, 일정 기간은 ‘갭투자’도 가능하도록 규제를 대폭 완화한 것이다.
일각에서는 둔촌주공의 대규모 미달 사태는 부동산 규제가 아닌 고(高) 분양가 때문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둔촌주공의 전용면적 59㎡의 일반 분양가는 무려 10억 6000만원에 달한다. 강동구에 있는 길동 강동 헤리티지 자이 같은 면적의 분양가는 6억5000만원~7억7000만원에 공급됐다.
경기침체 장기화 우려에 고금리 기조가 겹치면서 현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8%를 웃도는 실정이다. 고분양가 논란에 고금리까지 겹치면서 쉽게 분양을 받거나, 계약에 나서는 소비자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둔촌주공에서 대규모 미분양이 나오면서 주택 시장이 더 위축될 거라는 우려가 크다”면서 “둔촌주공의 경우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에도 미계약이 나온 건 고분양가 논란이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 쌓이는 미분양, 서울도 1년전과 비교해 18배 급증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서울 지역의 미분양 주택 물량이 1000가구에 육박한 것으로 조사됐다.
1년 전 미분양 물량 54가구와 비교하면 18배 넘게 급증한 수치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도 빠르게 쌓이면서 전체 미분양 물량의 34%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기준 준공 후 분양이 안된 악성 미분양은 131가구에서 무려 340가구로 증가했다. 지난 연말부터 빠르게 악성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얘기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교수는 “더 큰 문제는 통계에 잡히지 않은 소형 도시형주택이나 주거형 오피스텔의 경우 미분양 주택이 훨씬 많은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상진 기자(letyou@alphabiz.co.kr)